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동물과의 관계를 맺고 칭찬을 하면서 칭찬요법을 적용한 동물매개활동이 초등학생 고학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J도 I시 I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중 동물매개활동에 참여의사를 밝힌 11명의 학생들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전·사후 표준편차 비교로 진행하였고, 동물매개활동은 2019년 4월 10일부터 2019년 5월 15일까지 주 2회씩, 총 10회기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칭찬요법을 적용한 동물매개활 동이 초등학생 고학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고 실시한 실험집단 과 대조집단의 자아존중감 척도와 행복감 척도 사전·사후 검사 결과 비교를 통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칭찬요법을 적용한 동물매개활동이 초등학생 고학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4,600원
        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두 차례의 오일쇼크(1973년, 1979년)와 세계곡물위기 (2008년)는 상대적으로 천연자원이 풍부하지 못한 국가들에게 위협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식량의 약 70% 이상을 수입 에 의존하고 원유의 100%를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식량 및 석유의 가격변동으로 인한 위험에 노출된 정도가 심하였다. 2. 하지만, 위험정도는 국가 간의 부존자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력 수준, 경제변동률 등에 따라 다르게 분석되었다. 3.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이러한 개별 국가가 처한 위험 정 도를 알아보기 위해, 2개 구간(1971-1990년, 1991-2011년)으로 나누어 국가 유형화를 시도함. 유형화를 위해 요인분석, 군집분 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4. 본 논문에서는 (1)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식량 자원보다 에 너지 자원의 활용이 많아져 경제변동률이 높은 유형에는 에너 지 자급률이 높은 국가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 국가별 식량 안보수준의 변화는 에너지 안보수준의 변화 에 비해 부정적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것을알 수 있으 며, (3) 생산력 수준이 낮은 국가들의 식량자급률은 하락하는 방향으로 이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식량자급률 하락에 따른 식량 자원 분포의 비대칭성 문제와 아울러식량 자원 생산에 있어서의 불균등도 심화 문제를 야기 시킬수 있다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4,000원
        3.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itive horticultural therapy (PHT) on the self-respect and the personality and talent in elderly women. Elderly women were divided into 2 groups as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erformed a positiv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eight week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self-respect was recognized in all factors of ‘Self-confidence, cooperative mind, optimistic mind, satisfaction, self-respect, presence, positive outlook, accomplishment, and sense of excellence’ Positiv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ere positively related to improving self-respect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omen (p<.01). The personality and talent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all factors: ‘[t]he pursuit of meaning, personal relationships, reliability, sincerity/acceptance, compassion, sympathy, being earnest, responsibility, self-awareness, altruism, respect and praise for others, and grace’ (p<.01). Also it can be confirmed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ental, physical, and social lives of the elderly women. Therefore, positive horticultural therapy with horticultural therapy and positive psychology, be confirms that the above results are very useful for improving the self-respect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also,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above results are very useful for improving self-respect or quality of life of various o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