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두 차례의 오일쇼크(1973년, 1979년)와 세계곡물위기 (2008년)는 상대적으로 천연자원이 풍부하지 못한 국가들에게 위협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식량의 약 70% 이상을 수입 에 의존하고 원유의 100%를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식량 및 석유의 가격변동으로 인한 위험에 노출된 정도가 심하였다. 2. 하지만, 위험정도는 국가 간의 부존자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력 수준, 경제변동률 등에 따라 다르게 분석되었다. 3.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이러한 개별 국가가 처한 위험 정 도를 알아보기 위해, 2개 구간(1971-1990년, 1991-2011년)으로 나누어 국가 유형화를 시도함. 유형화를 위해 요인분석, 군집분 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4. 본 논문에서는 (1)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식량 자원보다 에 너지 자원의 활용이 많아져 경제변동률이 높은 유형에는 에너 지 자급률이 높은 국가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 국가별 식량 안보수준의 변화는 에너지 안보수준의 변화 에 비해 부정적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것을알 수 있으 며, (3) 생산력 수준이 낮은 국가들의 식량자급률은 하락하는 방향으로 이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식량자급률 하락에 따른 식량 자원 분포의 비대칭성 문제와 아울러식량 자원 생산에 있어서의 불균등도 심화 문제를 야기 시킬수 있다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1. 계획경제체제에서 농업부문의 비효율성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어왔으며, 시장경제로의 체제전환이 이러한 만성적인 농업부문의 비효율성을 극복해 줄 것으로 기대함. 하지만 농업선진국과 체제전환국간에 농업생산성 격차가 상당히 큰 수준이며, 체제전환국 간에도 농업생산성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남.
2. 이러한 체제전환국간 농업부문의 성과 차이는 각 국의 부존자원, 초기조건 그리고 이행과정에서의 시장지향적 정책의강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실증연구는 미미한 편임. 따라서 실증분석을 통해 부존자원과 초기조건 그리고 이행과정에서의 정책이나 소유권의 배분 방식등에 따라 생산성으로 계측된 농업부문의 성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향후 이들 국가의 농업부문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설정에 매우 중요함.
3.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체제전환 국가들의 시장경제로의 편입 이후 농업 생산성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생산성 변화의 결정요인 분석을 통해 체제전환국의 농업정책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음.
4. 본 논문의 시사점으로는 (1) 체제전환 이전의 토지 원소유자에게 토지 반환, (2) 시장경제로의 개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정책적제도적 방안 마련, (3) 체제전환정책을 입안함에 있어 특정 국가가 지닌 초기조건 고려임.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수입 곡물인 콩의 주요 교역국들의 생산, 소비, 무역 및 재고 동향과 각 국의 생산변동에 따른 조정유형 분석을 수행한 후, 이를 바탕으로 각국의 국제시장 전이효과를 계측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콩의 국제시장 전이효과가 주요 생산국인 브라질, 파라과이, 캐나다 등을 중심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가 재고보다는 소비와 무역을 통해 생산변동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제 콩 시장의 불안정성 증가가 예상된다. 따라서 대규모 콩 수입국인 우리나라는 일정량의 국내생산기반 유지, 적절 한 재고정책의 활용, 선물시장의 활용, 수입선 다변화 등과 같은 해외조달능력의 향상을 통한 안정적인 국내 콩 수급 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ransformation of over-depopulated rural villages.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the reasons of the rapid decrease in the number of over-populated rural villages shown by recent census data in spite of the continuing decrease of population in rural area. We used a binary-logit model and the Censu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data(2010, 2015).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the over-depopulated rural villages with strong agronomic base are more likely to exit from over-depopulation. Second, returners from urban to rural have a positive impacts on the revival of over-depopulated rural areas. Thirds, improving the basic services accessibility of rural residents is also critical for keeping rural community more sustainable. These findings can be used to make effective strategies to revive the depopulated rural village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analyze damages of TYLCV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s and to fi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damages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s. A TYLCV is generally known for a plant disease related to temperature. Its occurrence rate increases when temperature rises. This disease first occurred in 2008 and rapidly spread nationwide. Due to the spread of a TYLCV, a number of Tomato farms in Korea were damaged severely. To analyze damages of the pest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s, this research estimated production los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and RCP scenarios. Additionally, Hot Spot Analysis, LISA,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spatial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largely damaged regions under RCP scenarios. The results explained that additional production loss was estimated differently by regions with the same temperature rising scenario. Also, largely damaged regions are spatially clustered and factors causing large damages were different across regional cluster groups. It means that certain regions can be damaged more than others by diseases and pests. Furthermore, pest management policy should reflect the properties of each region such as climate conditions, cultivate environment and production technologies.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for developing rural management plans and pest protection policies.
This study developed three indices for evaluating regional brand value, i.e. awareness index, experience index, and attractiveness index. We used an AHP approach to estimate these indices for 151 rural regions (151 administrative jurisdictions in Korea). Our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regional brand index varies considerably across regions b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interviewee. First, the value of regional brand of local jurisdiction is higher than that of more integrated administrative jurisdiction. Second, the brand value of Gangwon and Jeolla region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Third, the interviewees with school children in the age of 40-50 are likely to have higher regional brand value. The estimation results also show a need for different strategies to develop and improve regional brand.
In this paper, we estimated the economic impacts of Korea-EU FTA on the agricultural sector in GyeongGi-Do. In particular, we estimated the economic impacts of agricultural production decrease resulting from Korea-EU FTA for 31 sub-regions in GyeongGi-Do by 15 industrial sectors. We employ a regional economic impact model combining a regional input-output model with a spatial allocation model. We found that the size of inter-industrial impacts are quite different across regions. Our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agricultural and industrial policy considering the impacts of industrial sectors at the region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