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2.
        202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T. S. 엘리엇의 초기 시를 쥬디스 버틀러의 젠더 수행성과 젠더 우울증 개념을 기반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에서 제시된 젠더 수행성에 따르면 젠더는 한 개인의 내 적이고 본질적인 중심을 표현한 것이 아니라 제스처, 옷 입는 방법 등 과 같은 행위에 의해 구성된다. 젠더는 반복되고 축적되며 그렇게 해서 응축되어서 자연적인 것처럼 보이게 된다. 버틀러는 젠더 우울증을 젠 더화된 정체성의 “절대로-절대로 구조” 혹은 동성애 부인에 대한 “절대 로-절대로 구조”라고 불렀다. 「프루프록의 연가」, 「여인의 초상」같은 엘 리엇의 초기 시를 젠더 수행성 개념을 통해 살펴볼 때 시의 화자들이 기대되는 젠더 역할들을 수행하려고 하지만 실패하고 여성과의 관계 형 성도 실패한다. 일부 비평가들은 엘리엇의 작품을 동성애 관점에서 살 펴보았고, 라모스는 엘리엇 작품에서 발견되는 애가적 특징에 동성애적 인 의미가 엮여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애가적 특징은 엘리엇의 초기 작품, 특히 황무지 4부 「수사」에서 나타나고 있다.
        3.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네 사중주의 첫 번째 작품인 번트 노턴 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네 사중주의 주제는 시간과 영원, 그리고 그것의 교차점인 성육(Incarnation)에 대한 화자의 명상이라고 할 수 있 다. 네 사중주는 헤라클레이토스와 바가바드 기타 그리고 십자가의 성 요한, 노르위치의 줄리안 등의 동서양의 철학적, 종교적 사고들을 참 조하고 인용하면서 이 작품의 주제를 표현하였다. 엘리엇은 이 작품의 후반부에서 기독교적 의미를 명확하게 표현했지만 번트 노턴 같은 초 반부에서 기독교적 의미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그래서 몇몇 연구들은 동양 사상의 관점에서 네 사중주를 고찰하기도 했다. 그러 나 번트 노턴 에서 네 사중주의 구조적 모델로서 후반부에 명시된 기독교적인 관점들이 함축적으로 표현되었다. 번트 노턴 3부에서 표 현된 암흑이나 5부에 나타난 “십단의 비유”는 십자가의 성 요한의 신비 주의 저서에서 참조된 것이며, 이스트 코우커 3부에서 이 암흑에 관 한 내용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5부에 나타난 “사랑”은 아리스토텔레스 적인 제 1운동자의 의미 뿐만 아니라 기독교의 성육의 의미를 함축한 다. 이 성육은 드라이 샐베이지즈 5부의 “반쯤 추측된 암시, 반쯤 이 해된 재능은 성육이다”(The hint half guessed, the gift half understood, is Incarnation.)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되었다. 그리고 이 작품에 나타나는 장 미, 빛, 새, 나무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들에도 기독교적인 의미가 함 축되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4.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1927년 엘리엇의 개종 이후 출판된 「동방박사들의 여행」을 시적 화자인 동방박사의 종교적 명상이라는 주제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 시는 동방박사가 자신의 과거 경험 즉 아기 예수 탄생을 목격했던 경험을 회상하고 그 의미를 생각하는 종교적 명상이다. 그리고 이 작품의 제목을 이루는 “여행”은 신비주의적 관점에서 하느님과의 만남을 추구하는 영적 여정 혹은 과정을 의미한다. 비평가들은 아기예수 탄생을 목격했던 경험에 대한 동방박사의 반응이 부적절하다고 평가했지만 그 경험 이후 구체제에 대한 그의 불편함과 새로운 믿음에 대한 그의 관심을 지적하였다. 이것은 스미스나 기쉬 등과 같은 비평가들이 이 작품에서 신비주의적 요소를 지적하게 하였으며 스미스는 동방박사를 십자가의 성 요한의 『가르멜의 산길』에서 묘사된 구도자와 비교하기도 하였다. 엘리엇의 후기 작품들에는 기독교 신비주의자들의 작품에서 나온 인용이나 제사들이 자주 등장하며 1926년에 행해진 클라크 강연에서도 그의 작품에 주로 인용되었던 십자가의 성 요한을 포함한 스페인 신비주의자들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비평가들이 이 작품을 십자가의 성 요한의 작품과 비교했다면 필자는 같은 스페인 신비주의자로서 이냐시오 성인의 『영신수련』의 종교적 묵상을 동방박사들의 여행과 비교해 보았다. 필자는 이냐시오식 묵상의 한 단계인 장소구성이 엘리엇의 이 작품에 적용될 수 생각하는데, 이 장소구성은 종교시에 중요한 요소이고 또 엘리엇의 작품 중 특히 1연에서 표현된 화자의 힘들고 고통스러운 여행 묘사에 적용될 수 있다.
        5.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의 목적은 존 던에 대한 엘리엇의 수용변화를 살펴보고 존 던과 엘리엇의 후기 시를 비교해 보는 것이다. 엘리엇은 긍정적으로 던을 평 가했던 초기와 달리 후기에 와서 던의 작품에서 “감수성의 분열”을 발 견했다고 하면서 그를 비판하였다. 엘리엇은 존 던의 작품에서 “감수성 의 분열”이 나타나게 된 것은 이냐시오 성인의 영향 때문이라고 생각하 였다. 엘리엇이 이냐시오 성인의 영향을 발견한 것은 존 던의 후기 작 품인 종교시들이라고 생각된다. 존 던의 종교시는 이냐시오 성인의 영 신수련의 묵상 구조에 기반을 두고 있고, 그 주제도 죄에 대한 묵상인 데, 그것은 영신수련의 첫 번째 주간의 주제와 동일한 것이다. 엘리엇의 대표적 종교시인 네 사중주는 시간과 영원의 교차에 대한 명상을 다 루었다. 엘리엇은 번트 노튼 의 장미원, 리틀 기딩 의 “한겨울 봄”에 서 시간과 영원이 교차되는 순간을 빛, 물, 꽃등의 이미지 혹은 상징 체 계를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또한 번트 노튼 2부에서는 “정지점”에 대 한 명상을 통해서 장미원에서 경험했던 신비의 순간을 정의하고자 하였 다.
        6.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니체는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신의 죽음에 의해 만연된 허무주의라고 생각했다. 니체가 진단했던 이런 허무주의적 양상은 엘리엇의 초기 작품들 특히 「게론션」과 『황무지』에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니체가 기존의 교회가 예수의 가르침 중 죄와 심판을 강조하고 사랑을 강조하지 않은 것에서 신의 죽음을 야기시켰다고 주장한 반면에 엘리엇은 성육한 예수의 본질을 인간이 알아보지 못한 것에서 인간의 절망적 상황이 발생했다고 보았다. 니체는 허무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 영원회귀 사유를 주장하였다. 니체의 영원회귀 사유에 따르면 생성은 변화이자 생명이며 곧 존재이고, 모든 순간은 의미가 있다. 영원회귀는 일종의 사유실험으로서 인간의 삶에 대한 태도를 시험하는 것이다. 한편 엘리엇의 후기 시 『네 사중주』에서 세상만물은 유전의 법칙에 따라서 변화하는데, 이것은 니체가 중요하게 생각했던 생성과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니체의 생성은 곧 존재로서 가치우위에 있는 반면에 엘리엇의 세계는 유전의 법칙에 지배를 받지만 영원과 시간이 교차하는 순간이 있기 때문에 인간에게 의미와 가치를 준다.
        7.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and “Portrait of a Lady,” two major works of T. S. Eliot’s early poems, have been regarded as a kind of ramatic monologues. Many critics indicated that Eliot’s use of dramatic monologue was different from Victorian poets’, so they called Eliot’s dramatic monologues “interior monologues” or “psychologues.” However, some critics like Won-Chung Kim insisted that Eliot’s and Robert Browning’s dramatic monologues shared some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ir masterpieces,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and “My Last Duchess.” In this paper, my premise is that Eliot’s dramatic monologues are different from Victorian poets’ like Browning’s because I think that Eliot changed the technique of dramatic monologue to reflect the spirit of his age, that is,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the early 20th century, many writers including Eliot thought that the self is illogical and split, and claimed that they should focus on the human consciousness and try to find the method to express it. In his early poems, Eliot expressed the speakers’ consciousness that was divided. Some critics has also indicated that the speakers of Eliot’ early poems have self-conscious character caused by the split self. To create this character of the speakers, I think, Eliot adapted the technique of dramatic monologue. While the traditional dramatic monologues focus on showing the speakers’ values, Eliot’s show the conflict of the speakers’ doubling self that produces the effect of irony. The speakers’ doubling self consists of the superficial and the fundamental self. One represents the self that tries to conform to the life style of the bourgeois world and is very concerned about people’s judgment. The other represents the self that longs for something higher, more emotional and spiritual. When this doubling self collides with each other and causes conflict, the speaker observes himself in a dramatic way, that is, as a object. Then, the speaker returns to his daily life again.
        9.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examined how the English Renaissance drama influenced Eliot's early poelry. Many critics like Hugh Kenner and Grover Smith insisted the relalionship between Eliot' s poetη and the English Renaissance drama, but they didn’t tell concretely how Eliot’s poetry was affected by the English Renaissance drama. First, I Iried to examine how the English Renaissance drama affected Eliol's poetry in terms of the form. As some critics indicaled Eliot was a poet who tended to improve the traditional English verse forms and use them. So he learned the blank verse form in lhe English Renaissance drama, improved and used il in his poems especially “Gerontion.'‘ And he used some lechniques like repetition he showed in Ihis poem in his several poems such as “The Love Song of J A lfred PrufTock," and “La Figlia Che Piange." Besides, Eliot used tbe English Renaissance drama as lhe significant source of allusions in his poems. For example, lines 5 and 6 of “Whispers of Immortality" can be associ ated witb Flamineo’s speech of John Webster’s The While Devi/ V. iv. Thus, Eliot Iried to put the concept of tbe deatb in life tbis speech implied in his poem. And he tried to show the speakers' self-dramatization in his early poems Ihat appeared in main characters’ speech in the English Renaissance drama by using these allusions. Thus, he attempted to sho\V the speakers' narcissistic mind that he thought tbe modem men h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