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수련관 운영실태 및 이용자 만족도를 통한 개선방안 연구 서울 시립청소년수련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Youth Training Center through User Satisfaction Survey method with a Focus on the Seoul Youth Cent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6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초록

주민등록 인구가 현저히 감소되고 있음에도 지역여건을 고려하지 않는 운영보조금의 배정 및 획일적 프로그램 운영 등에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현재 청소년들이 처한 환경은 입시 위주의 성적 제일주의로 학교 부적응과 학교중단 사유 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가족구조가 변화하고 있어 조손, 다 문화, 소년소녀 가장 등이 늘고 있고 청소년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이들에게 상담과 치유를 동반하는 청 소년수련관은 건전한 육성과 균형 있는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터전이고 수련 거리를 갖춘 시설로서의 목 적 수행과 청소년수련관 이용자 서비스 향상을 위해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다양한 체험활 동과 청소년의 건전한 육성 발전과 균형 있는 성장을 위해 청소년수련관 운영 실태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문제점으로는 재정이 열악하고 전문 청소년지도사의 인력 부족 및 고용의 불안정, 청소년의 욕구에 부합 한 프로그램의 미흡하며, 청소년 이용 시 불편과 인지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청소년수련 관 이용자 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첫째로,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욕구조사와 이를 토대로 창의적 이고 혁신적인 지역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고, 둘째로, 청소년 지도사 들의 직업적 전문적 안정을 위해서는 신분보장과 더불어 급여체계를 복시시설 종사자와 동일하게 하되 호봉체계를 3호 봉~15호봉으로 조정하여 현실화가 필요하다. 이는 직업의 안정과 고용불안을 줄여 생동감 있는 직장으 로 변화되어야 만 한다. 셋째로, 재정운영에 관한 사항으로 법인 전입금의 철저한 지도감독과 수련관 수탁 운영 시 운영계획 안을 실행 여부를 준수할 수 있도록 정기적 지도감독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자립형과 지원형 의 목적 사업 비율을 철저하게 준용함과 동시 평가에서도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보조금 차등 지 급 등으로 경쟁력을 제고 할 필요가 있다.

The environment of adolescents is grade oriented which focuses only on the college entrance exams that school maladjustment and reasons for discontinuing school are on the rise. Also, grandparentheaded family, multicultural family, and child headed family are increasing due to the changes in family structure, and youth center that performs both counseling and healing to those who are causing adolescent problems is the base that can support healthy upbringing and balanced growth which is being operated to execute a purpose as a facility with training cases and for service improvement of youth center us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peration situation of youth center for various field works, healthy upbringing, and balanced growth of adolescents, there were problems as low budget, lack of professional youth workers, unstable employment, insufficient program that corresponds with the needs of adolescents, and inconvenience for using and low awareness. First, to increase satisfaction level for youth center services, survey on demands that society needs and development of creative and innovative program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 must be preceded, and secondly, guarantee of status and salary structure must match with welfare facility workers but need to actualize the salary system by coordinating it into the 3rd~15th class salary. Workplace needs to be more lively through job stability and by decreasing employment instability. Thirdly, for finance management, regular supervision must be preceded for strict supervision on the corporate transferred money and to follow operational plans of consignment management of the training center, and to this end, it would be necessary to strictly apply the self standing and assisted purpose business ratio and to improve competitiveness through the graded payment of operating subsidy by introducing the incentive system in simultaneous assessment as well.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청소년 복지의 개념
    2. 청소년육성정책의 개념
    3. 청소년수련시설의 개념 및 종류
    4. 청소년수련관의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 조사도구 및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청소년수련관 운영실태 분석 결과
    2. 청소년수련관으로서 본질적 역할 미흡
    3. 조직․인력 운용 면
    4. 재정운용 측면
    5. 사업 및 프로그램 측면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임옥빈(강원관광대학교 사회복지서비스과 교수) | Lim Auk-Bin (Dept. of Social Welfare, Kanwon Tourism College, Kangwon 26034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