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민간회화로서 무화(巫畵)의 예술적 가치 — 이미지의 미적 특질을 중심으로 — KCI 등재

The Artistic Value of Shaman Painting as Folk Painting - Focusing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imag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8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동방문화와 사상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초록

본 논문은 ‘민간회화로서 무화(巫畵)의 예술적 기치-이미지의 미적특질을 중심으로’를 회화사적 입장에서 실증자료를 토대로 성찰하고자 한다. 그 동안 무화에 관한 도상이 지닌 상징적 의미를 민속학적 관점에서 문화사적 의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측면이 다수를 이루었다. 신의 형상을 그림으로 나타난 것이기에 불화와 마찬가지로 우리 회화사에 서 충분히 논의가 이루어져야 되는 측면에 있으나, 무(巫)에 대한 부정적 시선 과 특정한 사조 또는 대표적인 작가를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는 미술사에서 적극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장르이다. 무명(無名)의 작가에 의 해 그려졌으며 무당이 죽음이 다가오면 자신이 봉안하던 무화를 땅에 묻거나 불태워서 정리하는 관습 때문에 100년 이상 된 무신도를 찾는 것이 어렵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무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에 관한 연구를 꺼린다면 한국 인의 고유한 신에 대한 관념과 미적인 사유체계에 관한 이해를 외면하는 결과를 낳는 것이라 판단한다. 이러한 연유로 본 논문에서는 무화만이 지닌 미 적 특수성을 찾고자 하며, 이는 기층의 미감을 이해하는 하나의 통로가 될 것 이라 본다. 본인은 무화의 예술적 가치를 미적인 측면에서 논하기 위해서는 방향성이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민속학자인 김태곤은 무화는 민간신앙 속에서 전 승된 일종의 원시회화이므로 민화적 측면에서 고찰되어야 하며, 무화를 전형 적인 순수한 민화이고 말하고 있다. 민(民)에 의해 소통된 민간회화라는 점이 민화의 핵심이라면, 무화(巫畵)는 무당의 집인 신당에서 사용되었지만, 그 당 시 대중들의 욕구에 의해 제작되고 소통되어진 측면이 크기에 민화의 하나로 분류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본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무화의 예술적 가치를 민간의 회화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며 통시적 입장에서 사료의 분석과 실제 남아있는 무화의 실견을 통한 검토를 통해 무화라는 이미지가 지닌 본질을 파악하고 그간의 논의를 확장시키고자 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reflect on ‘the artistic value of shaman painting as folk painting – focusing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images’ based on empirical data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in painting. Until now, research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symbolic meaning of the icons in shaman painting and its significance in cultural history from the aspects of folklore. Since gods’ images are expressed through painting, there is an aspect that it needs to be discussed fully from the perspective of our painting history just like Buddhist painting. However, it is a genre that has not been actively studied in the history of art because of the negative view on shamanism and its tendency to focus on specific trends or representative artists. We cannot also ignore the practical reason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gods’ paintings in Korean shamanism that are over 100 years old because they are drawn by unknown artists and there is a custom of burying or burning the shaman paintings that shamans have enshrined when death approaches. However, if research on this is tabooed, we will end up failing to understand Koreans’ unique notion of gods and aesthetic thinking system. For that reason, this study is attempted to find the aesthetic specificity that shaman paintings uniquely have, and it will form a channel for understanding the aesthetic sense of the base. There must be a direction in order to discuss the artistic value of shaman painting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Folklore scholar Kim Tae-gon says that shaman paintings are a kind of primitive painting passed down in folk beliefs so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folklore, and they are typical pure folk paintings. If the core of folk painting is that folk painting was used to communicate by the people, shaman painting was used in Sindang, the house of a shaman, but it was produced and used to communicate for the people’s needs then; therefore, it is not absurd to classify it as one of the folk paintings. For that reason, this research is attempted to examine the artistic value of shaman painting from the perspective of folk painting and to grasp the essence of the images of shaman paintings and extend the discussion so far by analyzing historical sources from a diachronic point of view and investigating the shaman paintings that are remaining actually.

목차
Ⅰ. 서론
Ⅱ. 무화(巫畵)의 유래와 개념
Ⅲ. 무화가 지닌 민간회화로서의 보편성
Ⅳ. 무화의 예술적 가치가 지닌 의의
    1. 창작의 자율성
    2. 속(俗)의 미적 특수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한유진(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박사 졸업) | Han Yu-jin (Graduatrd from Sungkyunkwam University with Ph.D. in Eastern Philoso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