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치유정원 계획을 위한 정원 색채 팔레트 연구1) - 피에트 우돌프 정원을 중심으로 - KCI 등재

Researching a Garden Color Palette for Planning a Healing Garden - Focused on Piet Oudolf's Garden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2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최근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생활변화로 스트레스와 우울증이 증가하여 자연환경과 치유적인 정원 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피에트 우돌프의 공공정원을 중심으로 정원의 색채와 배색 이미지를 분 석하여 정원 색채 팔레트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색채 팔레트는 향후 치유정원 설계에 활용될 수 있으 며, 치유정원을 조성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피에트 우돌프 홈페이지에 게시된 22개 작품 중 도시 재생을 통한 도시 내 녹지를 활성화한 사례와 예술문화의 공간을 정원 등 6개 정원 이미지 를 선정하였다. 이를 KSCA, KSCP, I.R.I 색조 프로그램으로 배색의 감성, 형용사 이미지 등 색채감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각 정원에서 도출된 형용사 이미지는 정적이고 안정된 이미지, 품위 있고 우 아한 이미지, 그리고 클래식한 이미지가 나와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색감임을 보여준다. 6개 정원 에 사용된 색상은 GY(연두)가 29.2%, Y(노랑)과 PB(남색)이 16.7%, YR(주황)이 12.5% 사용되었다. 주 조색으로는 GY(연두)계열 색상이 가장 많이 추출되었으며, 배색 이미지는 고상한, 내츄럴한, 우아한, 은은한 이미지가 도출되었다. 색상에 대한 빈도를 분석한 결과 중명도(79.1%)와 저채도(52.1%)의 색 상이 주로 사용되어 차분하고 편안함을 주며, 정원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색조빈도는 고상한(31.3%), 차분한(20.8%), 지적인(18.8%) 이미지가 검출되었다. 자연정원의 다양한 색상과 색조를 가진 식물은 정원의 미적인 특성과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식물들은 색상, 색조, 형태, 질감을 통해 다양한 감정과 느낌을 전달하여 자연과 조화로운 경험을 준다. 그러나 빛에 영향을 받는 정원의 색채를 일반화하기에는 연구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Recent lifestyle chang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have led to an increase in stress and depression, prompting a notable focus on natural environments and healing gardens. This study focuses on Piet Oudolf’s public agreds and analyzes the color and color scheme of the gardens to propose a coor palette for the gardens. The suggested color palette holds importance for future healing garden designs, serving as crucial information for creating therapeutic gardens. From the 22works posted on Piet Oudolf's website, we selected six garden images, including examples of revitalizing green spaces in cities through urban regeneration and gardens as spaces for art and culture. The image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by KSCA, KSCP, and I.R.I hue programs for color emotion and adjective images. The derived adjective images from each garden exhibit static and stable images, refined and elegant images, and classic images, all contributing to a color palette that instills psychological stability. The colors used in the six gardens consisted of GY(Green-yellow) at 29.2%, Y(Yellow) and PB(Blue) at 16.7%, and YR(Orange) at 12.5%. Among the dominant colors, GY hues were the most frequently extracted, yielding sophisticated, natural, elegant, and subtle color schemes. Analysis of color frequency revealed that high brightness(79.1%) and low saturation(52.1%) colors were predominantly used, providing a serene and comfortable ambiance. Key color frequencies crucial for garden imagery included sophisticated(31.3%), serene (20.8%), and intellectual(18.8%) tones. Plants with diverse colors and tones in natural gardens play a crucial role in shaping the aesthetic qualities and images of the gardens, offering a harmonious experience with nature through color, tone, form, and texture. However, there may b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colors of gardens influenced by light condition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2.1 색채분석 대상
    2.2 색채분석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References
저자
  • 남명희(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협동과정) | Myunghee Nam (Dept. of Forest Therapy,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박봉주(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Bongju Park (Dept. of Horticultur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