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탄소중립 녹색공간 평가를 위한 지표구축 및 적용방안 KCI 등재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Approach for Carbon-Neutral Green Space Assessment Indicat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2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1990년대 이후 급증한 탄소 배출량은 지구 온도 상승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도시는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으로서 약 70%의 배출량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탄소중립 노력이 중요해지면서 도시 내 유일 한 탄소흡수원인 녹색공간의 효과적인 활용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탄소중립 녹색공간 평가를 위한 지표와 산정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사례분석과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전문가 자문을 진행하였다. 그 결 과 총 45개의 평가지표가 구축되었으며, 5개 근린공원에 적용하여 지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사례평가 결과 SCOPE 1, 2단계에 속하는 바이오매스 격리, 저탄소 공법 및 자재사용, 원형보존 유형이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정도가 높았으며, 탄소 특화공원이 일반 근린공원에 비해 강점을 보이는 것을 확 인하였다. 본 연구는 탄소중립 녹색공간 인증제 실현을 위한 도구를 제공하고 평가 프레임워크 구축에 중요한 기반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Rapidly increasing carbon emissions since the 1990s have accelerated global warming, and cities are a major sourc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70% of total emissions.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carbon neutrality efforts,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green spaces, which are the only carbon sinks within cities, has become essential. This study developed indicators and calculation criteria for evaluating carbon-neutral green spaces by utilizing case studies and expert consultation through the Delphi method. As a result, a total of 45 evaluation indicators were constructed and applied to five neighborhood park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indicators. The case study results showed that biomass sequestration, low-carbon construction methods and materials, and preservation of original state types, which belong to SCOPE 1 and 2, had a high degree of contribution to carbon neutrality. It was also confirmed that carbon-specialized parks have advantages compared to general neighborhood park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tool for realizing the carbon-neutral green space certification system an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n evaluation framework.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평가지표 구축
    3.2 평가지표 사례평가
4.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지선(청주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Jiseon Lee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eongju University)
  • 이애란(청주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Airan Lee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eongju University)
  • 박재민(청주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Jaemin Park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eongju University)
  • 김호걸(청주대학교 조경도시학과) | Ho Gul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Cheongj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