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계량적 통계로 본 김현승의 시세계(詩世界) 전개 KCI 등재

Development of Kim Hyun-seung's Poetry based on quantitative statist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46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논문은 다형 김현승(1913~1975)의 시어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그 특징을 찾아내고, 각 시기 시어 특징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우선 김현승의 작품을 목록화하고 시어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계량적 방 법으로 시어 통계를 진행했다. 새로운 연구법을 통해 학계의 연구 성과 를 검증하고 보완하기로 한다. 본 연구는 김현승 현재 발간된 작품들을 목록화하여 총 257편 작품을 통계 대상으로 삼고 기존 연구에 따라 1기 (해방 전), 2기(1954~1963), 3기(1964~1970), 4기(1971~1974)로 나눠 시 어 빈도를 얻고 분석하였다. 형식적 특징으로 김현승은 짤막한 문장을 선호하여 단시(短詩)를 많이 창작했다. 그리고 내용적 특징으로 김현승은 행동보다 사물 자체에 대한 묘사를 더 집중함을 알 수 있고 '신'에 대한 집착을 확인할 수 있다. 어휘 빈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 김현승의 시세계는 1기가 ‘희망’, 2기가 ‘신앙’, 3기가 ‘고독’, 4기가 ‘사랑’으로 요 약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계 결과는 조태일, 김병선 등 김현승의 연구자들 이 텍스트 분석으로 밝힌 시세계 양상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계량적 방 법은 시를 연구할 때 한 연구법으로 전통 시어 분석법의 보조로 되어 새 로운 연구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thesis will list the works he created and apply a new method called the measurement method to verify and supplement the research results of the academic world through poetic statistics on Kim Hyun-seung's poetry. In this thesis, a total of 257 works were statistically targeted by listing the currently published works and organizing overlapping and vocabulary problems. Mainly, the work of Kim Hyun-seung was analyzed in both aspects of form and content. As a characteristic of the form, Kim Hyun-seung created a lot of short poems by preferring short sentences. In addition, Kim focuses more on the description of the object itself than actions. These statistical results are similar to the aspects of the poetry world that researchers of Kim Hyun-seung, such as Cho Tae-il and Kim Byung-sun, revealed through research. Therefore, I think that the quantitative method can provide a new research perspective as an aid to the traditional poetry analysis method as a research method when studying poetry.

목차
Ⅰ. 서론
Ⅱ. 계량 대상의 목록화 정리
Ⅲ. 계량적 분석으로 본 김현승의 시세계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대배운(한국학중앙연구원) | Dai Peiyu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