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더 글로리>의 시청 동기 분석으로 살펴본 중국 시청자의 한국문화 호감도 및 재시청 의도 KCI 등재

Chinese Viewers’ Korean Culture Favorability and Re-watching Intention Examined Through Analysis of Viewing Motivations f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4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한국드라마의 특성이 재시청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메커니즘을 검증함으로써 한국문화를 효과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드라마 제작 전략을 제시하고 하였다. 이를 위해 드라마 <더 글로리>를 본 적이 있는 중국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최종 총 245부 유 효 표본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시청자들이 지각한 한국드라 마의 주연배우 특성, 주제 특성, 제작 특성, 화제성이 높을수록 재시청의 도와 한국문화 호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청자의 한국문화 호감도가 높을수록 재시청의도가 커지며, 드라마 특성이 한국문화 호감 도를 경유하여 재시청의도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 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첫째, 중국시장에서 호응을 얻기 위해서는 중국의 시청자가 선호하는 주연 배우, 스토리 주제, 제작 기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소셜미디어에서의 화제성을 중요시 해야 하고, 셋째, 드라마를 제작할 때 드라마로 한국문화를 가시화하여 보여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한국드라마의 중국 수출시장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V drama production strategy that effectively diffuses Korean culture through Korean dramas by verifying the intrinsic mechanism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ramas impacting on re-watching inten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Chinese viewers who had watched the Korean drama <The Glory>, and a total of 245 samples were analyzed as final valid sampl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rama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inese people's re-watching inten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V dramas and re-watching intention, Korean Cultural favorability plays a mediating role. Such research results enlighten us that, firstly, in order to obtain high ratings in the Chinese market, it is necessary to make use of the actors and stars, story themes, and production techniques that Chinese audiences love; secondly, with the popularity of social media,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operation of dramas on social media; thirdly, when producing dramas, it is very important to show Korean culture through dramas.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Korean drama export marke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드라마의 특성
    2. 재시청의도
    3. 문화 호감도
Ⅲ. 연구 방법
    1. 연구모형
    2. 측정도구 및 조작적 정의
Ⅳ. 실증분석
    1. 표본의 일반적 특성
    2. 측정 문항의 신뢰도와 확인적 요인분석
    3. 상관관계 분석
    4. 가설검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
  • 장이판(홍익대학교) | Yifan Zhang (Hongik University)
  • 김선영(홍익대학교) | Sunyoung Kim (Hongi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