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만은 우리나라 남해 연안의 주요 어장으로서, 여전히 전체 수산생산량에서 적지 않은 기여를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수십 년간 산업개발과 고수온과 같은 환경변화로 인하여 진해만의 해양생태계는 과거와 달라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22년 까지 진해만 연안 5개 시군구의 수산생산량, 폐기량, 평균영양단계 및 어업균형지수를 분석하였으며, ARIMA 모델을 이용하여 2027년까 지 단기적인 변동 추세를 함께 관찰하였다. 그 결과, 고성지역은 2027년까지 지속적으로 수산생산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통영 지역은 이매패류의 부산물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해양생태계 지표의 경우, 통영지역에서는 대형 어류 생산 비중이 회복되고, 어업균형지수가 0 이상을 나타내어 해양생태계 구조가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PCC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2060 년까지 진해만의 부어성 어종 6종의 생산량 변동 추이를 비교하였으며, 2020년대 초반 2만 ton 부근까지 감소했던 생산량은 2020년대와 2040년대에 4만 ton 부근 가까이 회복한 후, 2060년까지 점진적인 감소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As an important fishing groun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Jinhae Bay is characterized by a high level of fisheries production. However, its marine-ecosystem has shifted owing to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industrial development and high water temperatures over the decades. This study analyzes the fisheries production, discards, mean trophic level, and fishing-in-balance index using annual fishing data from five regions surrounding Jinhae Bay for the period 2005-2022, as well as using additional forecasting trends by 2027 using ARIMA (Auto Regressive Intergrated Moving Average). The results shows, that the production in Goseong will decrease continuously by 2027, as compared with that in other areas. Additionally, byproduct management is considered necessary in Tongyeong. For the marine-ecosystem index, Tongyeong indicates stable catch ratio of large fish species and a fishing-in-balance exceeding 0. Finally, the annual catch variation for six pelagic fish species in Jinhae Bay by 2060 is estimated based on the IPCC climate-change scenario, in which the recent low level that decreased to approximately 20 thousand ton in early 2020 is projected to recover to approximately 40 thousand ton in the 2020s and 2040s, followed by an incremental decline by 2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