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노우베리 추출물의 항균 활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nowberry Extra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7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스노우베리 추출물과 발효 추출물을 대상으로 피부 상재균인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를 이 용하여 천연화장품 소재로서의 항균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를 위한 스노우베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10-200mg/mL 농도에서 생육저해환(paper disc diffusion method)과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를 평가하였다. 스노우베리 추출물과 발효 추출물의 생육저해환을 확인하였을 때, 스노우베 리 추출물의 경우 뿌리 추출물에서만 100mg/mL, 200mg/mL의 농도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발효 추출 물의 경우 200mg/mL에서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스노우베리 추출물과 발효 추출물 의 4종의 세균에 대한 항균력은 확인할 수 있었으나, 진균인 Candida albicans에서는 항균력을 확인할 수 없었다. MIC 결과 스노우베리 잎, 뿌리 추출물에서 발효의 경우 줄기 추출물에서 각 균에 대한 최소저해 농도가 100mg/mL, 200mg/mL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노우베리가 피부 개선을 위한 항균 소재 및 방부제로서의 활용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compared and evalu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MIC of snowberry extract and fermented extract. For antibacterial activity,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 and Candida Albicans were used. Antimicrobial activity and MIC were measured at concentrations of 10, 50, 100, and 200 mg/mL. Antibacterial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8mm paper disc method. In the case of snowberry extract, it was confirmed that the root extract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t concentrations of 100 mg/mL and 200 mg/mL, and in the case of fermented extract, it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t 200 mg/mL. As a result of the MIC, for fermentation in snowberry leaf and root extract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for each bacterium was confirmed in stem extracts.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snow berries are improved by fermentation.

목차
1. 서 론
2. 실 험
    2.1. 시료 추출
    2.2. 시약 및 기기
    2.3. 시험 균주 및 배양
    2.4. 미생물 생육저해환 측정(Paper discdiffusion method)
    2.5.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concentration)본 연구에서는 Broth-
    2.6. 통계처리
3. 결과 및 고찰
    3.1. 미생물 생육저해환 측정(Paper discdiffusion method)
    3.2. 스노우베리의 최소저해 농도 평가(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이찬우(미그림, 대표) | Chanwoo Lee (Miglim Co., Ltd, A-1309, 30, Songdomirae-ro, Yeonsu-gu, Incheon, 21990, South Korea)
  • 허혜연(경희대학교 약학대학, 대학원생) | Hye-Yeon Heo (College of Pharmacy, Kyung Hee University, Seoul, 02447, South Korea.)
  • 박유진(목원대학교 화장품공학과, 대학원생) | Yu-Jin Park (Dept. of Cosmetics Engineering, College of Technology Sciences. Mokwon University, Daejeon, 35349, South Korea)
  • 장영표(경희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 YoungPyo Jang (College of Pharmacy, Kyung Hee University, Seoul, 02447, South Korea)
  • 김보애(목원대학교 화장품공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