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건용 오페라에서 나타나는 한국어의 음악적 표현에 관한 연구: ≪동승≫(2004)과 ≪왕자와 크리스마스≫ (2010)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Musical Expression of the Korean Language in Geon-Yong Lee’s Operas: Focusing on A Little Monk(2004) and The Prince and Christmas(2010)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7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본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오페라 작곡가 이건용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한국어의 음악적 표현 을 ≪동승≫(2004)과 ≪왕자와 크리스마스≫(2010)의 몇몇 아리아 및 합창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를 행함에 있어 한국어 고유의 특징인 장단, 고저, 억양, 음절언어적 특성, 말토막 개념 및 음악 에서의 박자 악센트와 리듬 악센트 등을 활용했다. 그 결과 이건용의 오페라에서는 문장 및 말토막이 본래의 언어적인 호흡을 유지한 채 음악화 되었으며, 한국어의 장단구조, 수식구조, 단어의 높낮이, 문장의 억양 등이 다양한 박자 악센트 및 리듬 악센트와 결합하여 해당 텍스트의 음운론적인 측면을 강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건용의 오페라는 단어 및 문장에 새로운 장단이나 악센트 등을 부여하기도 하였다. 이 경우 해당 선율들은 ‘방언’을 구사하거나 특정 인물의 성격을 구체화하는 것으로 다가왔다. 이외에 도 한국어의 음절언어적 특성을 드러내듯 음악의 흐름 안에 또렷하게 인지되는 고른 텍스트의 분 포가 존재했다. 그리고 이런 성부를 토대로 하는 대위법적인 짜임새의 표현성이 두드러졌다. 화성적으로 반음계 섹션을 등장시킴으로써 해당 구간에서 발화되는 텍스트를 독특한 방식으로 청취되도록 하거나, 실제 언어 수행 시 나타나는 상호작용적인 담화방식, 감정이 섞인 말의 반복, 특정 연령 집단이 보여주는 언어적 행동 등을 오페라 안에 음악적으로 구현한 경우도 있었다. 예컨대 이건용의 오페라는 한국어를 민감하게 다루고 있으며, 한국어의 다양한 음운론적인 특 징과 담화 상의 속성 등을 음악적으로 반영함으로써 표현력을 강화한다. 따라서 이건용의 오페라 는 개인의 오페라 작법을 구축한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한국오페라’로서의 기본적인 속성을 스 스로 구체화한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nd melody in the works of Geon-Yong Lee, a leading Korean opera composer, focusing on several arias and choruses from Opera A Little Monk (2004) and Opera The Prince and Christmas (2010). In conducting this analysis, the study utilizes the inherent features of the Korean language, such as its rhythm patterns, pitch, intonation, syllable-timed characteristics, and rhythm units, as well as the concepts of meter accent and rhythm accent in music. The analysis reveals that in Geon-Yong Lee’s operas, sentences and rhythm units are musically adapted while maintaining their original linguistic breath. The rhythmic structure, modifying structures, word pitch, and sentence inton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ombine with various meter accents and rhythm accents to enhance the meaning of the text. Furthermore, Geon-Yong Lee’s operas introduced new rhythms or accents to words and sentences through music. In such cases, these melodies conveyed dialect usage or helped to concretize individual characters’ personalities. The syllable-timed nature of the Korean language is also reflected in the evenly distributed, clearly perceivable text within a regular musical flow. This formed the basis for the distinctive expressiveness of the contrapuntal textures. By introducing chromatic sections, the operas allowed the text being articulated in those parts to be heard in a unique manner. Additionally, they musically implemented interactive discourse styles, emotional speech repetitions, and linguistic behaviors characteristic of specific age groups, as observed in real language use.

목차
1. 들어가며
2. 한국어의 음악적 표현을 탐색하기 위한 도구들
    2.1. 한국어의 음운론적 특성
    2.2. ‘입말’을 살펴보기 위한 추가적인 개념들
    2.3. 음악의 박자 악센트와 리듬 악센트
3. 오페라 ≪동승≫(2004)
    3.1. 오페라 ≪동승≫ 대본의 특징
    3.2. 한국어의 발음 형태를 반영하는 선율
    3.3. 텍스트의 강조를 동반한 감정적 격랑의 표현
    3.4. 말의 얽힘을 들려주는 대위적 짜임새
4. 오페라 ≪왕자와 크리스마스≫(2010)
    4.1. 가독성이 좋은 서정적인 노래들
    4.2. 말이 발화되는 수행상의 특성 표현
    4.3. 특정 연령 계층의 행동 양상에 대한 음악적 표현
    4.4. 음고 및 화성처리를 통한 연극적 제스처의 성취
5. 나가면서
참고문헌
저자
  • 이민희(충남대학교, 강사) | Minhee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