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GFRP 보강근의 콘크리트 인발 부착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KCI 등재

Experimental Study on the Pullout-Bond Characteristics of Concrete with GFRP Reba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63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초록

철근은 콘크리트와 결합하여 인장 능력을 보완하고 표면 피막으로 부식을 방지하지만, 탄산화 및 염화물 침투로 인해 부식이 발생하면 내력이 저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식성이 뛰어난 GFRP(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보강근이 철근 대채제로 주 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직경에 따른 GFRP 보강근의 부착특성을 철근과 실험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콘크리트는 약 39MPa의 고강도 에 가까운 콘크리트를 사용하였으며, 보강근의 직경은 D10과 D13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GFRP 보강근의 평균 부착 응력은 17.21MPa로 철근의 18.14MPa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GFRP 보강근의 슬립 양은 3.05mm로 철근의 1.53mm 보다 크게 나타났다. 또한 GFRP의 경우 인발 과정에서 표면에 국부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When combined with concrete, steel rebar enhances tensile strength and prevents corrosion through its surface coating. However, when corrosion occurs due to carbonation and chloride penetration, the structural integrity is compromised. To address this issue,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 rebars, known for their superior corrosion resistance, have gained attention as potential replacements for steel rebar. This study experimentally compares the bonding characteristics of GFRP rebars with those of steel rebars based on diameter. High-strength concrete with a compressive strength of approximately 39 MPa was utilized, and the diameters of the rebars were D10 and D13.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average bond stress of GFRP rebars was 17.21 MPa, similar to the 18.14 MPa of steel rebar. However, the slip of GFRP rebars was 3.05 mm, which is larger than the 1.53 mm of steel rebar. Additionally, localized surface damage was observed in GFRP rebars during the pull-out process.

목차
1. 서 론
2. 실험 설계
    2.1 실험 변수
    2.2 사용재료
    2.3 시험체 제작
    2.4 실험 방법
3. 실험 결과 및 비교분석
4. 결 론
감사의 글
저자
  • 김상우(경상국립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수료) | Kim Sang-Woo (Ph.D. Candidat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 배재호(경상국립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 Bae Jae-Ho (Master. Student,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 홍지훈(경상국립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 Hong, Ji-Hun (Master. Student,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 김진섭(경상국립대학교 토목공학과 부교수) | Kim Jin-Sup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