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코로나 팬데믹 이후 호텔전공 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취업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KCI 등재

The effect of the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Hotel Managemen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64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호텔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취 업 준비 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 260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가설검정 결과 교과 만족, 인식 만족, 관계 만족이 모두 취업 준비 행동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식 만족이 높을수록 직간접적 취업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 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는 인식 만족이 높을수록 취업 준비 행동에 높 은 영향 관계를 맺는 것에 주목하여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호텔산업 고 용시장의 구인난을 해결하는데 촉매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밝혔고, 실무 적으로는 다양하고 혁신적 교수법과 교과목 개발, 실무수업과 이론 수업 의 적절한 조합, 학생 맞춤형 상담과 취업지도, 커뮤니케이션 강화 등을 통해 호텔 전공학생의 전공만족도를 향상하고 이를 바탕으로 취업 준비 행동을 촉진 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major satisfaction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mong hotel management college students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Based on responses from 260 participants, the hypothesis testing results indicate that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perceived satisfaction, and relational satisfaction all have a partially positive (+) influence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Notably, the higher the perceived satisfaction, the greater the impact on both direct and indirect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Academically,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igher perceived satisfaction and increase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suggesting that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could serve as a catalyst in addressing labor shortages in the hotel industry. Practically, it demonstrates that enhancing major satisfaction and promoting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can be achieved through diverse and innovative teaching methods, curriculum development,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practical and theoretical courses, personalized student counseling and career guidance, and strengthened commun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전공만족도
    2. 취업 준비 행동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4.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측정 항목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3. 상관관계 분석
    4. 연구가설 검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김건(중부대학교) | kim Gun (Joongbu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