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특산 동강할미꽃(Pulsatilla tongkangensis Y.N.Lee & T.C.Lee)의 분포특성 및 개체군 구조 KCI 등재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 Structures of Korean Endemic Plant, Pulsatilla tongkangensis Y.N.Lee & T.C.Le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65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국가 수준에서의 식물다양성보전의 대상은 제한적인 분포를 나타내는 특산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특산식물인 동강할미꽃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생육지의 식생환경을 조사하였고 각 개체군의 구조를 평가하였 다. 이와 더불어 각 개체군의 활력을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추가적으로 연간생장특성을 관찰하였다. 동강할미꽃의 분포지는 크게 석회암 바위절벽, 능선 바위지대, 석회암지대의 산지 정상부 및 풍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사질토양의 생육지로 구분되었다. 함께 분포하는 식물은 지리적인 위치에 따라 구분되었고 각각의 생육지를 반영하였다. 측정된 식물체의 잎 수를 이용하여 평가한 개체군 구조는 안정적인 개체군과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개체군이 구분되었다. 상대적으로 어린 개체로 구성된 개체군은 능선 바위지대와 석회암지대의 산지 정상부 및 풍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사질토양의 생육지에서 관찰되었다. 석회암 바위절벽의 개체군에서 성숙한 개체의 꽃 수가 가장 많았다. 반면에 석회암 산지의 정상부에 위치한 개체군은 잎 수는 많았지만 식물체의 키가 작고 화서의 수도 가장 적었다. 석회암 지대의 바위절벽에 분포하는 개체는 정착 이후 오랜 기간 동안 생육하면서 종자를 생산하고 확산시킨다고 판단되었다. 반면에 석회암 능선의 분포지와 석회암지대의 산지 정상부 및 풍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사질토양의 생육지에서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개체의 생장이 제한되었고 석회암의 절벽 분포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생활사 주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동강할미꽃은 이른 봄철에 개화하고 여름철이 시작되기 이전에 열매 성숙과 종자 확산이 완성되었다. 생육지는 여름철을 기준으로 하루 중 7시간 내외로 햇볕을 받는 공간으로 평가되었다. 이것은 생장을 위해 강한 햇볕을 필요로 하는 동강할미꽃이 건조한 조건에서 정착하고 생존하여 생활사를 만들 수 있는 조건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보된 현황 자료를 바탕으로 동강할미꽃은 위기종(EN)으로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평가되었다. 또한 수집된 정보는 향후 IUCN의 국가적색목록평가를 위한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동강할미꽃은 강원도 평창군, 정선군의 석회암 바위 절벽에서 다양한 형질의 개체가 관찰됨에 따라 핵심적인 분포지로 높은 가치를 나타냄을 제안하였다.

The focus of conserving plant diversity at the national level includes endemic species restricted to specific regions. This study thus aimed to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current distribution status of the Pulsatilla tongkangensis Y.N. Lee & T.C. Lee, one of Korea's endemic plant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vegetation environment of its habitat and assessed the structure of each population. Furthermore, the performance variable of each population was comparatively evaluated, and its annual growth characteristics were also observed.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P. tongkangensis is largely divided into limestone cliffs, ridge rocks, mountain peaks in limestone regions, and sandy soil areas resulting from weathering. Plants in the same distribution area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ir geographical location, which reflected their respective habitats. According to the population structure evaluated using the number of measured leaves numbers, the plants were categorized into stable and relatively unstable populations. A relatively young population was observed at the top of mountains and rocky ridges of limestone areas and sandy soil areas resulting from weathering. The number of mature individuals was the highest in the population observed around limestone cliffs. In contrast, the population near the top of the limestone mountain range had more leaves , but the plants were of short stature and had the fewest inflorescences. The individuals distributed in limestone cliffs grew, produced, and dispersed seeds for an extended period following establishment. The growth of individuals was limited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habitat of distribution areas, including ridges, mountain tops in limestone regions, and sandy soil areas resulting from weathering. It was assessed to have a comparatively brief life cycle compared to that of the plants found on limestone cliffs. P. tongkangensis began flowering in early spring, and both fruit maturation and seed dispersal were completed before the onset of summer. The habitats were determined to receive around seven hours of sunlight per day during the summer, which was considered suitable for establishing a life cycle for the P. tongkangensis, a species requiring strong sunlight for growth to establish and success in a dry environment. Considering the status data gathered from this study, the P. tongkangensis was classified as an endangered species (EN). In addition, the collected data are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Therefore, we proposed that the P. tongkangensis holds significant value as a core distribution site, given the observation of species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on limestone cliffs in Pyeongchang-gun and Jeongseon-gun, Gangwon-do.

목차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종
    2. 분포현황과 연구대상지
    3. 연구방법
    4.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식생 및 입지 환경
    2. 개체군 구조
    3. 개체군의 활력 비교
    4. 연간 생장 특성
    5. 종합고찰
REFERENCES
저자
  • 김영철(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 Young-Chul Kim (Research Center for Natural Scienc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7, Jukheon-gil, Gangneung-si, Gangwon-do 25457, Korea)
  • 채현희(한국희귀멸종위기식물연구소 선임연구원) | Hyun-Hee Chae (Research Laboratory of Korean Rare and Endangered Plants, 7, Jongjimok-gil, Daegwallyeong-myeon, Pyeongchang-gun, Gangwon-do 25343, Korea)
  • 정지영(국립수목원 정원식물자원과 연구사) | Ji-Young Jung (Division of Garden and Plant Resources, Korea National Arboretum, 509, Gwangneung Soomokwon-ro, Soheul-eup, Pocheon-si, Gyeonggi-do 11186,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