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동조합을 통한 근로자간접참여의식과 개별적 직접참여인사제도 및 태도들에 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Worker Indirect Participating Consciousness through Union, Individual Direct Participatory HR System and Attitud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68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조직 내 이상적 민주주의 구현을 위해서는 보다 명확한 참여이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조를 통한 근로자간접참여의식, 개별적 직접참여인사제도 및 태도들 사이의 관계를 한국노동연구원(KLI)에서 시행한 노동패널조사(KLIPS 21, 22, 23, 24)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검정결과, 첫째 근로자간접참여의 식은 직접참여인사제도에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시간에 따른 근로자간접참여 의식 변화는 직접참여인사제도 변화에 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둘째 직접참여인사제도 는 일자리만족도에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일자리만족도는 조직몰입도에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근로자간접참여의식과 직접참여인사제도 및 태도들 사이의 완 전매개모델은 예측과 매개변수 간, 매개변수들 간, 매개와 기준변수 간 경로계수 모두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검출되었다. 이 결과는 노조를 통한 근로자간접참여의식 개발이 개별적 직접참여인사제도 시행에 한 방 향으로만 단조롭게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라 적절한 수준을 형성하며 그 수준을 현명하게 조정을 해나감 으로써 인간사회에서 서로 간 예민하게 자극받기 쉬운 경쟁을 억제하고 협동을 조장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향후연구에서는 사업장 내 이상적 민주주의 구현을 위해 다양한 참여유형들 간 통합(균형)을 이끄는 규범이론과 참여현상을 설명하는 서술이론이나 실증이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It is necessary that more sophisticated participation theory is developed to realize an ideal democracy in the workplace. This study analyze a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worker indirect participating consciousness through union, individual direct HR system, wor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the KLIPS 21, 22, 23, 24 data collected by KLI during 2018-2021. The analytic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it shows that initial states in worker indirect participating conscious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ose of direct participatory HR system. The result also shows that changes in worker indirect participating consciousness over time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ose of direct participatory HR system. Secondly, it shows that initial states in direct participatory HR system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ose of work satisfaction. Thirdly, it shows that initial states in work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os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a fully mediated model for initial states in worker indirect participating consciousness, direct participatory HR system, wor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be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cross paths among variables. Findings suggest that worker indirect participating consciousness through union restrains to a person’s competitive mind and rather promote collaboration between individuals by means of adjusting to direct participatory HR system. This paper has an implication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normative model for leading to the balancing between worker indirect and direct participation, and a descriptive as well as a positive model for explaining to participation phenomena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democracy at workpla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근로자참여의식의 구체화
    2. 노조를 통한 근로자간접참여의식과 개별적직접참여인사제도
    3. 개별적 직접참여인사제도와 태도들
    4. 개별적 직접참여인사제도의 완전매개역할
Ⅲ. 실증분석
    1. 표본자료 특성
    2. 변수의 측정
    3.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4. 가설검정
IV.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저자
  • 이동진(동국대 부디스트비즈니스학과 강사, 성균관대 철학과 석박사통합과정) | Lee Dong-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