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비스업 종사자의 심리적 웰빙과 직무만족 영향요인들의 관계 분석 : 몽골 사례를 중심으로 KCI 등재

Factors influenc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of service workers in Mongoli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68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c본 연구는 서비스업 비중이 높은 몽골의 서비스업 부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심리적 웰빙과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노동 관련 핵심적 요인들 중 부정적 감정과 정서억제의 관계와 심리적 안정감 의 매개적 역할 내지 효과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아울러 심리적 안정감과 직무만족 및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종사자들의 자기권능감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결과 서비스업 종사자의 부정적 감정은 통계적 유의성이 약하지만 심리적 안정감을 감소시 키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정서적 억제는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는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안정감은 직무만족과 심리적 웰빙을 높이는 정(+)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안정감의 매개효과 검정은 정서억제와 직무만족,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만 나타나고 부정적 감정과 직무만족 또는 부정적 감정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권능감의 조절효과의 경우 심리적 안정 감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서비스업 종사자와 조직의 성과를 강화할 수 있는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impact of negative emotions and emotional suppression among emotional labor-related factors on workers' overal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psychological stability targeting workers in the service industry in Mongolia. In addition, we sought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ees' sense of self-effica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tability,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negative emotions of service industry workers have a negative (-) effect in re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lthoug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is weak, and emotional suppress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in increasing psychological stability. Second, psychological stabi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the mediation effect test of psychological stability appear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uppressio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s and job satisfaction or negative emo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astly, in the case of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attempted to present useful implications that can strengthen the performance of service industry workers and organiz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부정적 감정, 정서 억제 및 심리적 안정감간의 관계
    2. 심리적 안정감과 직무만족 및 심리적 웰빙간의 관계
    3. 부정적 감정과 정서 억제가 직무만족과심리적 웰빙 간 심리적 안정감의 매개효과
    4. 심리적 안정감과 직무만족 및 심리적 웰빙간 자기권능감의 조절 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자료수집 및 연구 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3. 확인적 요인분석 및 타당도 분석
    4. 가설검증
Ⅴ.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 결과의 요약
    2. 연구의 시사점
    3. 연구의 한계점
참 고 문 헌

저자
  • 오드수렌 에리데니빌릭(강원대학교 경영대학 박사 졸업) | Erdenebileg Odsuren
  • 김정은(강원대학교 경영대학 강사, 노무법인 정평 파트너 공인노무사) | Kim Jung Eun
  • 김정원(강원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Kim Jung W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