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뷰티 종사자의 물리적 작업환경이 프리젠티즘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the Physical Risk Factors of Beauty Workers’ on Presenteeism and Mental Health: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1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 종사자의 물리적 작업환경이 직무소진, 프리젠티즘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서울·경기 뷰티 종사자 308명 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정규성 검증, 확인적 요인 분석,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모델 및 뷰트스트레핑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 종사자의 물리적 작업환경은 직무소진, 프리젠티 즘 및 정신건강에 통계적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 종사자의 물리적 작업 환 경과 프리젠티즘과의 관계에서 직무소진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뷰 티 산업 종사자의 물리적 작업환경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고 나아가 뷰티 종사자의 삶의 질 향상하는데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act of the physical risk factors of beauty workers on job burnout, presenteeism, and mental health and further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308 beauty workers in Seoul and Gyeonggi.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s, normality test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es, and mediation effect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bootstrapping.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a series of research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risk factors of beauty worker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burnout, presenteeism, and mental health. Second, job burnout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risk factors and the presnteeism of beauty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raise awareness of the seriousness of the physical risk factors of beauty industry workers and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beauty industry worker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연구방법
    2.1. 연구모형 및 가설
    2.2. 연구대상자 및 조사기간
    2.3. 측정 도구
    2.4. 자료 처리 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자료의 정규성(Normality) 검증(sample)과변수들 간 상관관계 분석
    3.2. 측정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3.3. 가설검증
    3.4. 고찰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비비안(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뷰티아트케어학과, 학생) | Rao JiaWen (Department of Beauty Art Care, Donggu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왕관군(한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경영학과, 학생) | Wang Guanqun (Hansung University)
  • 문승현(디연 대표) | Seung-Hyeon Mun (Director, Di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