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남지역 지석묘 문화의 전개 양상 KCI 등재

Development aspects of Dolmens culture in Jeonnam reg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2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전남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인 지석묘를 검토하여 시기별 전개와 전환기 양상을 살펴보았다. 청동기 시대 전기에 무덤이 출현한다. 지석묘와 석곽묘, 토광묘가 축조되며, 단독 혹은 군집 내 독립되어 있 거나 군집 내 위치한다. 지석묘의 경우 개석식이며, 개별 묘역시설을 갖추고 있다. 유물은 상징성을 가진 비파형동검, 석검, 부장용 토기류, 삼각만입촉, 일단경식석촉, 옥류가 출토된다. 중기에는 지석묘 문화의 전성기라 할 수 있다. 다양한 평면 형태를 가진 묘역시설이 있다. 한 묘역 에 1기 석실만 있는 묘역, 한 묘역에 4~6기 석실이 있는 묘역, 2개 혹은 그 이상의 각 묘역이 서로 잇대어 조성된다. 더불어 지석묘가 군집화된다. 수십 기 또는 백여 기가 넘는 대군집을 이루는 지석묘 가 확인된다. 유물 부장에 있어서도 전기 전통을 계승하지만 동시에 차별성을 보인다. 후기에는 지석묘 석실에서 초기철기시대 유물이 부장된다. 거대한 묘역 내 1기 혹은 2기 이상의 석실이 있거나 다단 토광으로 축조된다. 초기철기시대와 상당 기간 공존하며, 청동기시대 문화가 쇠 퇴하는 과정에서도 일정 기간은 묘제로써 권위를 유지하였다. 청동기시대 이후 새로운 무덤인 토광묘는 전남지역에서 기원전 3세기 무렵에 출현한다. 토광묘에 는 청동 유물이 수습되며, 철기 유물이 등장한다. 이를 통하여 지석묘 사회가 완전히 종착된다.

We examined ground and stone tombs, which are Bronze Age tombs in the Jeonnam region, and looked at their development by period and aspects of the transition period. Tombs appear in Bronze Age biographies. Ground-stone tombs, stone-walled tombs, and Toguang tombs were built, either alone or within a cluster, or located within a cluster. In the case of dolmens, it is an opening ceremony and has separate cemetery facilities. The artifacts unearthed include a symbolic non-wavy sword, a stone sword, accessory pottery, Entered the triangular bay, once touched the stone, and beads. T he middle period c an b e s aid t o b e t he h eyday o f t he e arth and Dolmens culture. There are graveyard facilities with various planar configurations. There are grave areas with only one stone chamber in one grave area, grave areas with four to six stone chambers in one grave area, and two or more grave areas built one after another. In addition, Chiseok tombs are clustered together. Several dozen dolmens or large collections of over 100 period dolmens have been confirmed. He inherits the tradition of electricity in the Department of Relics, but at the same time shows his discrimination. In the later period, early Iron Age relics were stored in the gravestone room. There are one or more stone chambers within a huge tomb, or it is built using multi-tiered earthen mines. It coexisted with the Early Iron Age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and even during the decline of Bronze Age culture, it maintained its authority as a drawing f or a c ertain p eriod o f t ime. A fter the Bronze Age, Doguang tombs, a new type of tomb, appeared in the Jeonnam region around the 3rd century BC. Bronze relics were collected in Doguang Tomb, and iron relics appeared. As a result, the society of underground and stone tombs came to a complete end.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전기 지석묘 문화의 양상
Ⅲ. 중기 지석묘 문화의 양상
Ⅳ. 후기 지석묘 문화의 양상
    1. 후기 지석묘
    2. 전환기 양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최성훈((재)동북아지석묘연구소) | Choi Seong Hoon (Research Center of Dolmens in Northeast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