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작업치료 분야에서 국내 가정환경 수정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KCI 등재

A Systematic Review of Domestic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Studies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3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작업치료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가정환경 수정 연구의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RISS, KISS, e-article를 이용하여 2014년 7월부터 2024년 6월까지 국내 작업치료 분야에서 가정환경 수정 을 적용한 연구를 검색하여 최종 8편을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 논문의 질적 수준은 근거수준 2-5단계였으며 3단계가 가장 많았다. 고령자와 장애인이 대상자였으며, 가정 환경 수정은 평가, 중재, 재평가 과정으로 대상자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였다. 평가와 중재는 작업치료사에 의해 이루어 졌고, 가정환경 수정만 적용한 연구 5편, 가정환경 수정과 다른 중재를 함께 적용한 연구가 3편이었다. 종속변인은 낙상 관련 요인이 가장 많았고, 주거환경, 건강상태, 작업 및 활동, 부양부담감 등이었으며, 평가도구는 총 13개로 낙상 위험 환경을 평가하는 HOME FAST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중재 결과 모든 분석논문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고하였다. 결론 : 국내 작업치료 분야에서 적용된 가정환경 수정 연구의 특성을 확인하고 임상에서 가정환경 수정을 적용하는데 기 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research being conducted in the field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OT). Methods : Using RISS, KISS, and e-article, we searched for studies applying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in the field of domestic OT from July 2014 to June 2024, and analyzed the final eight articles. Results : The quality level of the studies was evidence level 2-5, with level 3 being the most common. The subjects were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and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was provided in a customized manner to the subjects through a process of evaluation, intervention, and reevaluatio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were perform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re were 5 studies that applied only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and 3 studies that applied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and other interventions together.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ost often fall-related factors, including living environment, health status, work and activitie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aregiver burden, and a total of 13 assessment tools were used, with HOME FAST, which evaluates the fall risk environment, being the most used. As a result of the intervention, all analyzed papers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s. Conclusions : We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in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studies applied in the field of domestic OT a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applying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in clinical practice.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논문 선정 및 자료 수집
    2. 자료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분석논문의 질적 수준
    2. 분석논문의 특성
Ⅳ. 고 찰
Ⅴ. 결 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최유임(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 Choi Yoo-Im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Wonkwang University, Professor)
  • 김세연(우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 물리치료학과 교수) | Kim Se-Yun (Dept. of Physical Therapy, Woosuk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