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물음향 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한 나그네새의 한국 도래 특성 연구 - 울새를 사례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ssage Migrant Arriving in Korea Using Bioacoustic Monitoring Methods - A Case Study of the Rufous-tailed Robin (Larvivora sibilan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6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생물음향 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나그네새인 울새의 한국 도래 특성을 5개년(2019~2023년)에 걸쳐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종은 울새이고, 연구대상지는 국립공원 24개소, 도립공원 1개소, 람사르습지 6개소, 기타 4개소로 총 35개소였다. 데이터 수집 기간은 2019년 1월부터 2023년 12월이며, 분석 기간은 매년 4~5월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울새 번식울음은 5개년 공통적으로 06시에 가장 빈도가 높았으며, 20시부터 야간, 새벽까지는 울음 활동이 확인되지 않는 시간적 특성이 나타났다. 시기적으로는 5월 1일부터 5월 19일까지 번식울 음이 확인되었고, 2019년에는 5월 8일, 9일, 2020년에는 5월 5일, 13일, 2021년에는 5월 11일, 2022년에는 5월 9일, 10일, 2023년에는 5월 4일에 번식울음 빈도가 가장 높았다. 두 번째, 울새 번식울음이 탐지된 지역은 오대산국립공원 월정사숲, 북한산국립공원 진관동습지, 주왕산국립공원 주산지, 창녕 우포늪, 제주 동백동산 등 14개소였다. 5년 동안 공통적으로 탐지된 곳은 계룡산국립공원 용동저수지, 태안 두웅습지, 고창 운곡습지, 서울 남산이었다. 세 번째, 울새 번식울음 기간 특성을 연도별-대상지별로 확인해본 결과, 2019년에는 5월 5일부터 5월 19일까지, 2020년에는 5월 3일부터 5월 17일까지, 2021년에는 5월 1일부터 5월 13일까지, 2022년에는 5월 3일부터 5월 15일까지, 2023년에는 5월 3일부터 5월 17일까지였다. 번식울음의 탐지 일수가 가장 많은 곳은 5개년 공통적으로 서울 남산이었다. 네 번째, 울새 번식울음이 탐지된 날의 연도별 평균에 차이가 있었고(p<0.001), 사후검정 결과, 차이가 발생한 시점은 2020년과 2021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생물음향 모니터링 기법을 활용하여 소형 나그네새인 울새의 도래 특성을 정밀하게 확인하였고, 향후 기후변화와의 관련성과 보호지역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gration characteristics of passage migrants, the Rufous-tailed Robin, into Korea over a 5-year period (2019-2023) using bioacoustic monitoring methods. The target species for this study was the Rufous-tailed robin (Larvivora sibilans), and the target locations were 35 sites, including as 24 national parks, 1 provincial park, 6 Ramsar wetlands, and 4 other sites.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019 to December 2023, and analyzed every year from April to May.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ngs of L. sibilans were most frequently detected at 6 a.m. in all 5 years, with no vocal activity observed from 8 p.m. to nighttime and early morning. Songs were detected from May 1 to May 19, and their frequencies were highest on May 8 and 9, 2019; May 5 and 13, 2020; May 11, 2021; May 9 and 10, 2022; and May 4, 2023. Second, the songs of L. sibilans were detected at 14 sites, including Woljeongsa Fir Forest in Odaesan National Park, Jingwan-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Jusanji in Juwangsan National Park, Upo Wetland in Changnyeong, and Dongbaek Dongsan in Jeju. The areas where songs were commonly detected throughout the 5 years were Yongdong Reservoir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Duung Wetland in Taean, Ungok Wetland in Gochang, and Namsan in Seoul.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in which the songs of L. sibilans were detected by year and site, it was found that songs were detected from May 5 to 19, 2019; May 3 to 17, 2020; May 1 to 13, 2021; May 3 to 15, 2022; and May 3 to 17, 2023. The site with the most days in which songs were detected across all 5 years was Namsan in Seoul.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nnual average number of days in which the songs of L. sibilans were detected (p < 0.001), and the results of post-hoc tests showed that these differences occurred in 2020 and 2021.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cisely identified the arrival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passage migrant, the Rufous-tailed Robin, using bioacoustic monitoring methods and provided basic data for future climate change-related issues and protected area management.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및 대상종
    2. 조사 및 분석
결과 및 고찰
    1. 울음 빈도 특성
    2. 울새 번식울음 분포 특성
    3. 울새 번식울음 기간 특성
    4. 통계분석
    5. 고찰
REFERENCES
저자
  • 최세준(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조류연구센터, 상지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과 박사과정) | Se-Jun Choi (Bird Research Center,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87-10 Jinmaeul-gil, Heuksan-myeon, Sinan-gun, Jeollanam-do 58863, Korea, Dept. of Biological Science, Sangji Univ., 83 Sangjidae-gil, Wonju-si, Gangwon-do 26339, Korea)
  • 기경석(상지대학교 조경산림학과 부교수) | Kyong-Seok K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Forest Science, Sangji Univ., 83 Sangjidae-gil, Wonju-si, Gangwon-do 26339,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