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팝나무속 3종의 종자 휴면 및 타파처리별 발아율 비교
조팝나무속 식물은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관목으로 우리나 라 전역에 자생하는 한국 고유 식물이다. 조팝나무속 식물은 관상적으로나 약용적인 가치가 있는 중요한 자원 식물 중에 하나라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조팝나무속 식물 중 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 꼬리조팝나무(S. salicfolia), 당조팝나무 (S. chinensis)를 대상종으로 선정하여 종자의 휴면타파와 발아 특성을 구명하였다. 종자의 내・외부 형태는 종자의 길이와 배형 태를 관찰하였으며, 조팝나무, 꼬리조팝나무, 당조팝나무 종자 의 길이는 각각 약 2.21, 2.86, 2.01mm로 나타났다. 조팝나무 는 변온 조건에서 25/15, 20/10, 15/6, 5℃ 처리에서 각각 100, 100, 100, 58.2%로 5주 이내에 최대발아률까지 도달하였 으며, 저온층적처리에서도 경우 0, 4, 8, 12주에서 각각 100.0, 93.3, 90.2, 84.4%로 모든 층적처리에서 발아율이 높게 나타났 다. 저온층적처리와 GA3의 농도처리별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당조팝나무에서도 조팝나무와 동일한 양상으로 변온 조건에서 모든 처리에서 5주 이내에 최대발아률(100%)까지 도달 하였으며, 0, 4, 8, 12주에서 각각 100.0, 100.0, 90.6, 90.6% 로 모든 처리에서 발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GA3의 농도처리 별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꼬리조팝나무는 5주째에 25/15, 20/10, 15/6℃ 각 온도 범위에서 14.0, 16.5, 5% 정도 발아하여 발아율이 매우 저조했다. 처리 후 20주 정도 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15/6, 20/10℃ 처리구에서 50% 이상으로 발아율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GA처리를 통해 발아율이 향상되었다. 위 결과로 보았을 때 조팝나무속 2종의 식물과 다르게 꼬리조팝나무는 휴면이 있다고 판단되며, 종자 발아온도 조건의 범위가 상대적으로 좁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조팝나무속 식물 3종 중에 조팝나무와 당조팝나무는 휴면이 없 다고 판단되며, 꼬리조팝나무는 생리적 휴면으로 분류하였으며, 세부적으로 non-deep의 휴면 유형을 가졌다고 판단된다.
The genus Spiraea is a perennial shrub belonging to the Rosaceae family and is a plant native to Korea that grows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Plants of this genus are important resources with ornamental and medicinal value. Here, we collected the seeds of S. prunifolia, S. salicifolia, and S. chinensis and investigated their dormancy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The seed lengths of S. prunifolia, S. salicifolia, and S. chinensis were approximately 2.21, 2.86, and 2.01 mm, respectively. S. prunifolia reached maximum germination rates of 100%, 100%, 100%, and 58.2% at 25/15, 20/10, 15/6, and 5°C, respectively, within 5 weeks under alternating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cold stratification experiment at 5°C, germination rates were also high in all stratification treatments, reaching 100%, 93.3%, 90.2%, and 84.4% at 0, 4, 8, and 12 weeks, respectively. In S. chinensis, the same pattern was observed in all treatments under variable temperature conditions, reaching the maximum germination rate (100%) within 5 weeks, and the germination rates were high in all treatments at 100%, 100%, 90.6%, and 90.6% at 0, 4, 8, and 12 weeks,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GA3. However, S. salicifolia had very low germination rates of 14.0%, 16.5%, and 5% at the temperatures of 25/15, 20/10, and 15/6°C, respectively, after 5 weeks. At 20 weeks after treatment, the germination rate improved to over 50% in the relatively cold treatments of 15/6 and 20/10°C. In addition, the germination rate improved through GA3 treatment. Therefore, among the three species of Spiraea plants, S. prunifolia and S. chinensis are judged not to exhibit dormancy, and S. salicifolia is classified as exhibiting physiological dormancy, which is judged to specifically involve non-deep dorma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