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ponses of Eremogone juncea flowering characteristics to exogenous 6-benzylaminopurine (BAP) and gibberellic acid3 (GA) treatments. Overwintered E. juncea plants were sprayed with seven treatments: no hormones; 200, 400, and 800 mg·L-1 BAP; and 200, 400, and 800 mg·L-1 GA. All treatments showed 100% flowering, and the exogenous BAP and GA treatments did not affect the time to flowering, whereas the hormone treatments influenced floral organ development. BAP significantly decreased the floret diameter and inflorescence length with increasing BAP concentration, although the 400 and 800 mg·L-1 BAP treatments showed similar values. BAP also caused abnormal flowers with a large gynoecium and stamens with small anthers and short filaments. However, G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loret diameter and inflorescence length, although 800 mg·L-1 GA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floret diameter. In the vegetative parameters, the leaf length tended to increase as the GA concentration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AP and GA affect the flowering quality of E. juncea and can enhance the value of cut flowers, such as flower size and inflorescence length, by making the flowers larger overall.
        4,000원
        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비동자꽃의 대량번식을 위한 효과적인 발아 조건을 선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제비동자꽃 종자는 저온습윤 처리(5°C, 0, 4, 8, 12, 16주), GA3 처리(0, 500, 1000mg・L-1), 프라이밍 처리(0.1M, 0.2M의 NH4NO3, K2HPO4, KCl, KNO3)를 하였다. 모든 종자는 25°C, 12시간 광조건(40μmol・m-2 ・s-1)에 서 발아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GA3 처리구는 비닐온실(평균 23.4°C)에서도 비교실험이 진행되었다. 저온습윤 8주 처리구 에서 20.4%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12주 이상의 저온습윤 처리는 오히려 제비동자꽃의 발아율을 감소시켰다. GA3 0, 500, 1000mg・L-1 처리된 종자는 25°C에서 각각 3.3, 44.0, 62.0%, 비닐온실에서 각각 5.3, 16.7, 42% 발아하였다. 제비동자꽃 종자는 GA3 농도가 높아질수록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제비동자꽃 종자는 0.2M KNO3-프라이밍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54.7%)을 나타냈으며, 평균발아소요일수는 처리 간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효과적인 제비종자꽃 종자 번식을 위한 전처리 조건으로 24시간 GA3 1000mg・L-1 침지 처리 또는 0.2M-KNO3 프라이밍 처리를 추천한다.
        4,000원
        3.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딸기는 세계적으로 중요하고 인기있는 과채류이며 ‘설향’은 국내 시장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품종 중 하나이다. 딸기의 생장과 화아 유도는 이 작물의 과실에 수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벤질아데닌(BA), 지베렐린 산(GA3), 살리실 산(SA)이 ‘설향’ 딸기의 생장과 화아 유도에 미치는 영향 을 조사하였다. 21구 트레이에서 번식된 지 3주가 경과한 런너묘를 온도는 25oC/15oC(주간/야간), 상대습도는 70%, 광원은 백색 LED, 광도는 300 μmol·m-2·s-1 PPFD로 유지되는 생장 챔버에서 재배하였다. BA, GA3 및 SA를 각 0(대조구), 100, 200 mg·L-1로 런너묘에 처리하였다. 이러한 생장조절제를 런너묘의 잎에 2주 간격으로 2회 엽면살포하였다. 9주 후의 생육을 비교한 결과, 생장조절제를 엽면살포한 모든 처리에서 대조구에 비해 근장과 엽록소함량(SPAD)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GA3 처리에서 엽록소함량(SPAD)이 가장 낮았다. 하지만 GA3 200 mg·L-1 처리에서 엽면적, 잎 생체중, 식물 생체중이 증가하였다. 화아유도율과 화수는 SA 200 mg·L-1 처리에서 각 85%와 식물체당 4.3개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SA 200 mg·L-1 처리에서 높았다. 전체적으로 GA3 처리에서 식물 생장을 향상시켰고, SA 처리에서는 개화를 촉진하였다. 더 나아가 GA3와 SA를 혼합한 처리를 추가한 연구를 수행하여 생장조절제간의 관계를 구명하고 그 결과에서의 분자 메커니즘과 관련된 반응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4.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마토의 착과와 수확량은 여름철 비닐하우스내 고온스트레스로 인하여 감소하게 된다. 본 연구는 여름철 화천지역에 위치한 비닐하우스에서 지베렐린(GA3)과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2,4-D) 처리가 토마토의 수확량, 착과율, 착과 후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doration‘ 품종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GA3 0-, 5-, 10-, 15mg·L−1와 2,4-D 0-, 5-, 10mg·L−1를 개화 초기에 처리한 후 착과율, 수확량, 과실품질과 관련된 형질을 관찰한 결과, GA3 10mg·L−1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14.2%의 착과율 증가를 보였다. GA3처리구에서는 수확량, 과중, 상품과실 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4-D를 개화기에 처리했을 경우 착과율, 수확량, 상품과의 과중에 영향을 미쳤으며 GA3과 2,4-D를 각각 5mg·L−1 농도로 혼합처리 하였을 때 가장 높은(62.5%) 착과율을 나타내었다. 과실크기와 고형물함량은 GA3처리구에서만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여름철 비닐하우스의 고온조건에서 GA3 0mg·L−1처리구와 2,4-D 5mg·L−1를 처리했을 때 착과율이 가장 높아 많은 수확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량머루의 과립 크기와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GA3와 TDZ 처리의 효과와 적정 처리 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GA3 처리는 모든 처리구에서 모두 과립 비대 효과를 보였으며 100과 200mg·L−1 처리구의 과립이 가장 컸다. 또한 GA3 처리구는 착립수가 증가하여 과방중이 크게 생산되었으나 당도 및 산도에 전혀 차이가 없었다. 200mg·L−1 처리구에서 과피 오염 및 탈립과 같은 약해가 발생되었다. GA3와 TDZ 혼 용 처리에서는 GA3 혹은 TDZ의 농도가 높은 처리구의 과립이 크기는 크지만 과실의 성숙이 지연되어 당도가 낮고 산도가 높은 과실이 수확되었다. GA3와 TDZ를 처리했을 때 과피 조직은 세포층수에는 변화 없이 유관속 조직까지의 길이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개량머루의 GA3 와 TDZ처리는 세포 분열에는 영향 없이 세포 크기가 증가됨으로 인해 과립 크기가 증가하였다. 개량머루는 착립이 결정되는 시기가 짧기 때문에 착립 직후 2~3회에 나누어 처리해야 착립률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개량 머루의 과립 비대와 착립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GA3 100mg·L−1 이하의 단독 처리 혹은 GA3 50+TDZ 1.25mg·L−1의 혼용 처리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고 TDZ 처리에 의해 과실의 성숙이 지연되므로 성숙과를 수확하도록 주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6.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발아율이 저조한 한지형 잔디인 Kentucky bluegrass 와 Tall fescue종자를 식물생장조절제인 GA3와 BAP를 처리하여 발아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최적 처리조건을 구명하였다. Kentucky bluegrass 초종에서는 GA3 처리는 농도에 관계없이 BAP 단독 또는 및 GA3와 BAP혼용처리보다 발아증진 효과가 높았으며, 처리기간은 6일 처리가 3일 처리보다 좋았다. 따라서 최적 처리조건은 GA3 1000μM농도로 6일간 처리였으며, 무처리보다 발아율을 10~38% 향상시킬 수 있었다. Tall fescue 종자는 생장조절제를 처리하면 발아율이 향상되는 경향이나 현저한 수준은 아니었다. 최적 생장조절제 처리조건은 GA3 1000μM용액으로 3일간 처리였는데, 무처리 종자에서 비해 발아율을 10%증진시켰다. GA3 처리된 Kentucky bluegrass와 Tall fescue 종자는 묘출현율이 무처리에 비해 8~9% 향상되었고, 묘출현속도는 1.2일 빨랐다. 또한 건물 중, 초장 및 뿌리생장 등 초기생육이 무처리에 비해 향상되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4,000원
        7.
        202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adsura coccinea (Lem.) A.C. Smith is used as a medicinal plant and cosmetic material in China and Southeast Asia. To mass-produce Kadsura coccinea seedlings, the effects of gibberellic acid (GA3) and cold stratification 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were investigated. Seed germination rate with GA3 treatment was most effective at concentrations of 250 or 500 mg/L. With respect to mean germination time (MGT), mean daily germination, and T50 (days to reach 50% seed germination), the germination-promoting effect was improved as the concentration of GA3 increased. Stem growth of seedlings was the highest following GA3 treatments of 250 and 500 mg/L, and the growth promoting effect gradually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GA3 decreased. Root growth was stimulated at GA3 concentrations of 250–1,000 mg/L.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stratification treatment for 15, 30 and 60 days at temperatures of 0, 5 and 10℃ on the germination rate revealed that the most stratification treatment temperature was 10℃, and the results improved with longer treatment periods. Altogether, GA3 and stratification treatments improved the seed germination rate, shortened the MGT, improved germination uniformity, and produced healthy seedlings.
        8.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Developing new ginseng cultivars is a significant time-consuming process owing to the three years of growth required for ginseng to flower. To shorten the ginseng breed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apid progression through each gener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it was possible to rapidly break ginseng seed dormancy using gibberellic acid (GA3) treatment and alternating temperature. Methods and Results: Seeds were obtained from local variety. Seeds were treated with either GA3 at a concentration of 100 ㎎/ℓ, constant temperature (−2℃ and 2℃), alternating temperature (2℃ followed by −2℃, followed by 2℃) or a combination GA3 and temperature treatment. Following experimental treatment, seeds were sown into trays and placed in a greenhouse. Low germination rates were observed in seeds that did not receive GA3 treatment, which were similar following 2℃ and −2℃ constant temperature treatment. Germination rates increased in proportion to GA3 and more so when combined with alternating temperature treatment. In additon, stem and leaf lengths of the resulting ginseng plants were increased following GA3 treatment, although no synergistic effect was observed with alternating temperature treatme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ombination GA3 and alternating temperature treatment enhances ginseng seed germination, which can contribute to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to progress through a single ginseng generation for breeding.
        9.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optimal harvesting time of ginseng seed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GA3 treatment for improvement of seed stratification rate. Ginseng seeds harvested from Land race, Chunpoong and Yunpoong cultivar in July 20 were tested for stratification rate. It was shown that stratification rates of land race, Yunpoong and Chunpoong cultivar were 94.1%, 93.1%, and 82.6%, respectively. Seeds of Chunpoong cultivar harvested 10-15 days later showed a comparable stratification rate to that of Land race, indicating that late harvest of Chunpoong seeds is beneficial for the increase of stratification rate. The higher stratification rate was found in mature seeds (92.3%) than immature seeds (37.8%), both of which were harvested in July 20. Stratification rate of mature seeds harvested in July 15 was 87.5%, demonstrating optimal harvesting time of ginseng seeds with higher stratification rate is after mid-July. An exponential growth of endosperms of ginseng seeds was observed from early June to mid-June and then slow growth was observed. There was no obvious growth of embryos from fertilization to mid-August. After the this time, embryos quickly grew until late October. Thus, appropriate stratification control is essential during the period (from early September to late October) in order to optimize embryo growth and development. While no increase of stratification rate was observed in seeds treated with 50 ppm of GA3,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in seeds treated with 100 ppm of GA3. At this concentration of GA3, the stratification rate of Land race, Chunpoong and Yunpoong cultivar was 95.0%, 95.3%, and 96.5%, respectively.
        12.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ibberellic acid (GA) is a well-characterized plant hormone, which plays a critical role in various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including stem elongation, floral indcution and seed development. GA is known to cause enlargement of ripening fruits and, especially in grapevines, GA shows a unique function: the induction of seedlessness in seeded grape varieties. However, despite extensive previous studies about GA, there has been no clear verification of the mechanism that induces seedlessness in grapes. To understand how GA treatment results in artificial parthenocarpy of seeded grapes at molecular levels, we analyzed transcriptional changes in seeded grapes with and without GA application in various inflorescence developmental stages using RNA-seq. At 14 days before flowering (DBF), seeded grapes were treated with 100 ppm GA and clusters were collected at three developmental stages: 7 DBF, full bloom, and 5 days after flowering (DAF). Of a total of 28,974 genes that were mapped to grape genome reference sequences, 7,013 and 9,064 genes were up- and down-regulated, respectively, in the GA-treated grape as compared to the non-GA-treated control at 7 DBF, full bloom, and 5 DAF. Clustering analysis revealed that these genes could be grouped into 9 clusters with different expression patterns. We also carried out functional annotation based on gene ontology categor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of the GA and auxin-related gene families. These findings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molecular and cellular mechanisms of GA-induced parthenocarpy of grapes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on seed development in grapevines.
        13.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인삼 기내에서 생산된 재분화 식물체의 토양 순화를 위해 순화과정을 단축하고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GA3를 0.4mg l-1로 9시간을 처리하였을 때 토양에서 생존율은 59.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1mg l-1에서 9시간을 처리하였 때 43.7%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재분화 식물체의 뿌리길이가 4 cm 이상일 때는 48개체가 생존하여 생존율은 53.3%로 처리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뿌리 무게는 4 g 이상일때는 46.7%가 생존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4년생 때 지상부 생육 특성을 조사한 결과, 초장은 35.3 cm, 경장은 18.3 cm, 엽장은 12.1 cm, 엽폭은 4.8 cm로 이식 재배한 연풍의 생육 특성과 비교해 보면 재분화 식물체의 생육이 약간 떨어짐을 볼 수 있었다. 3년생 때 지하부 특성을 보면 근장은 15.3 cm, 동장은 4.5 cm, 동직경은 2.1 cm, 그리고 근중은 15.4 g으로 지하부도 지상부와 마찬가지로 대조구인 묘삼을 이식하여 재배한 처리구에 비하여 생육이 약간 떨어졌다.
        14.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matic embryos on growth regulator-free medium can be produced directly from cotyledon explants of Panax ginseng C. A. Meyer. When the embryo developmental stage was torpedo and cotyledon, the germination rate of embryos was quite high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gibberellic acid (GA3). However, the percentage of plantlet formation at the cotyledon stage was higher than that at the torpedo stage.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embryo at the cotyledon stage was the most appropriate for increasing germination by GA3. Embryos cultured on medium including four levels of GA3 concentrations (3, 5, 10, or 20 mg/l) showed all quite high germination rates (87-91%). When the well-developed embryos were continuously cultured on media including high concentrations of GA3 from 10 to 20 mg/l, the percentage of formation of normal plantlets was lower than that seen under low concentrations from 3 to 5 mg/l. This treatment of high concentrations resulted in shoots with abnormal shape. The optimal GA3 treatment provides a basis for the efficient method obtaining healthy plantlets derived from ginseng somatic embryos.
        15.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ibberellic acid did not affect ethylene production, whereas gibberellin biosynthesis inhibitors triggered ethylene production in dormant tubers. Gibberellic acid did not induce sprouting of dormant tubers, however, treatment of gibberellin biosynthesis retardants enhanced sprouting rates. Sprouting rate in ancymidol-treated tubers was highest among gibberellin biosynthesis retardants. Sprouting rate of tubers treated with ancymidol increased to 91.4~% . Batatasin-III content in GA3 treated tuber was increased in the highest concentration (30~mug~;I-1) . Tubers treated with mepiquat chloride, Batatasin-I was increased steadily, but contents of Batatasin-III and V showed dramatic decrease at the 1,000~mug~;I-1) concentration. This infers that gibberellin biosynthesis retardants play key roles in promoting breaking dormancy on dormant tubers of Chinese yam.
        17.
        199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경용(造景用) 및 분재용(栽用) 화목(花木)으로 개발가치가 매우 높은 참꽃나무의 종자발아특성(種子發芽特性)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항온조건(恒溫條件)에서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20℃이었고 25℃ 이상의 온도에서는 발아가 심하게 억제되었다. 한편 15℃에서는 초기발아노(初期發芽努)는 저조하였지만 최종발아율은 20℃에서와 거의 비슷하였다. 2. 야간온도(夜間溫度)를 15℃로 고정한 변온처리(變溫處理)를 통하여 25℃와 30℃의 고온처리구(高溫處理區)에서 항온처리에 비하여 발아율이 현저하게 높아겼다. 3. 황색(黃色) 및 적색광(赤色光)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유의성(有意性)있게 발아율이 증가하였고, 녹색광(綠色光)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발아율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또한 암처리구(暗處理區)에서는 전혀 발아하지 못하여 참꽃나무 종자는 절대적(絶對的) 광발아성(光發芽性) 종자(種子)임이 확인되었다. 4. 암조건(暗條件)에서도 50~100ppm 농도(濃度)의 GA처리에 의하여 발아(發芽)가 가능하여 GA의 광대체효과(光對替效果)가 확인되었다.
        18.
        199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여절편의 단백질함량 감소는 KCI처리에 의해 촉진된다. 본 연구는 KCI이 증가 시키는 단백질 분해작용을 더욱 촉진시키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 GA3 와 ABA를 KCI과 혼합처리한 다음, 이들이 노화엽의 단백질 분해작용을 조절하는 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파종후 16~18일된 실행의 제2본엽을 5cm 길이로 잘라 test 용액에 배양하는 8일간 단백질, aminotks, 흡수량,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과 단백질 분해산물인 aminotks의 유출량 변화 드을 조사하였다. 1. GA3 단독처리는 잎의 단백질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KCI과 혼합처리되어도 KCI 단독처리와 비교할 때 유의적인 변화를 유기하지 않았다. 그러나 ABA 단독처리는 단백질분해, amino산의 유출 및 endoproteinase 활성을 현저히 증가시켰고, ABA와 KCI의 혼합처리는 이들의 증가에 상조적이었다. 2. KCI은 Rubisco를 분해하는 exoproteinases의 활성을 감소시키는데 반해 GA3 나 ABA 첨가는 모두 이의 감소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KCI이 처리된 잎의 endoproteinase 활성은 ABA와의 혼합처리에 의해서만 상조적인 증가를 나타내어 이러한 효과가 없는 GA3 와는 그 기능이 대조적이었다. 3. 배양기간중 잎의 흡수량이 낮을수록 단백질 감소량이 많고 그 속도도 빨랐다. ABA와 KCI의 혼합처리로 단백질이 가장 많이 감소하였던 잎의 흡수량이 가장 낮아, 단백질 분해작용과 흡수률 사이에 깊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4. 따라서 KCI에 의한 수도 엽절편의 단백질분해촉진은 endoproteinases 활성과 감소 등에 그 원인이 있고, ABA는 이러한 변화에 상조적으로 작용하나 GA3 는 큰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다.e 및 free fatty acid) 는 13.3~17.4%로 나타났다.로 빠른 시일에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다. 4. 저온저장(4℃ , RH 50%)한 벼는 2년반 저장한 벼도 밥맛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5. 1988년산 및 1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이것은 고무기술자(技術者)가 당면(當面)해야할 과제(課題)에 속(屬)하며 바람직 한것은 본장(本章)의 내용(內容)이 여러 상황하(狀況下)에서 당면(當面)한 문제(問題)에 대(對)해 어떻게 대처(對處)해 야 할지를 모르는 여러 기술자(技術者)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얻어짐을 알았다. 여기서의 합성분말을
        19.
        198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종자의 휴과타파에 온도 및 지베레린의 효과를 배 생육 단계별로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의 후숙초기(8월 6일~11월 6일)에는 15℃ , 후숙중기(개갑후 30일)에는 10℃ , 후숙종기(개갑후 30일~92일)에는 5℃ 에서 배생장이 제일 잘되었다. 2. 개갑적온은 17℃ 정도로 배생장 적온(15℃ )보다 높았다. 3. 배의 비대생장이 완료된 종자에서는 고온 즉(25-30℃ )에서 발아가 촉진되었으나 곧 부패하였다. 4. 개갑된 종자가 5℃ 에서 105일째 80%, 10℃ 에서 147일째 28%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15℃ 이상의 온도에서는 전혀 발아되지 않았다. 5. 지베레린처리에 의해 개갑율은 증가되었으나 발아에 필요한 저온 대치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6. 발아에 필요한 저온처리는 배의 비대생장 완료에 필요한 것으로 여겨졌다.
        20.
        198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수도의 유전연구에 전기영동법을 도입함에 있어 기초조사를 하기 위하여 수도 조직내의 몇가지 산소가 부위별로 차이가 있는지 또한 생장 조절제인 GA를 처이함으로 같은 산소의 동위효소 pattern이 변하는지 '아끼바레'와 '유신' 두 품종을 사용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Isoelectrofocusing에 의한 종자, Shoot, Root의 Esterase, Phosphatase, Amylase 동위효소 pattern은 두 품종 모두 조직부위별로 다른 pattern을 보였다. 2. 7% polyacrglamide slab gel electrophoresis에 의한 Peroxidase 동위효소 pattern도 두 품종 모두 조직부위별로 다른 Pattern을 보였다. 3. GA(10/sup -5/)을 처리했을 경우 Esterase 동위효소 pattern은 '아끼바레'의 root와 '유신'의 shoot, root에서 대조구와 차이가 있었으며 Phosphatase의 동위효소 pattern은 '아끼바레'의 root에서 차이가 있었다. Amylase와 Peroxidase의 동위효소 pattern은 대조구와 GA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