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198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본 연구는 Trichoderma 종간 형태적 분류와 전기영동법을 이용한 가능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2. 전기영동법을 이용한 Trichoderma의 enzyme patterms에서 각 종의 특징적 band를 갖고 있어 종의 분류에 가능성을 보였으며 개체간 band 형성에 차이가 있는 것은 유전학적 변이가 종내 존재하며 전기영동법을 종내 유전학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간주된다. 3. Trichoderma spp.의 분류는 esterase, protein patterns으로 명확하게 6종간 구별되며 phosphotase, catalase patterns으로는 6종간 부분적 구분이 되었다.
        4,000원
        2.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Glycine max L.) 종자로부터 분리된 렉틴을 토끼에 면역화시켜 렉틴항혈청을 얻었다. 이를 이용한 면역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대두렉팅의 면역화학적 특성과 6개 대두 품종의 종자에서 렉틴의 존재를 조사하였다. Crossed immunoeiectrophoresis한 결과 종자는 4종의 침강선을 보임으로서 렉틴에 4종의 항원성분이 존재함을 보여 주었다. 1% agarose gel을 이용하여 Immunodouble diffusion test한 결과 6개 대두 공시품종 모두 렉틴항체에 대하여 침강선을 나타내었고 푸종간 침강선은 모두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ELISA 방법에 의하여 6개 대두 품종간의 렉틴함량을 조사, 비교한 결과 렉틴함량은 장엽콩>광교>황금콩>백운콩>장백콩=팔달콩 순으로 나타났다. 공시품종의 조자로부터 분리한 렉틴은 모두 토끼 적혈구는 응집시켰으나 Fusarium sp., Alternaria sp., Cuvalaria sp. 등의 곰팡이 포자는 응집시키지 못하였다.
        3.
        198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대두(Glycine max L.) 방사품종의 종자단백질에서 렉틴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렉틴의 분리방법은 (NH4 )2 SO4 의 50~80% 포화침전단백질을 Carboxymethyl cellulose column과 Sephadex G 100 column을 거쳐서 분리, 정제되었다. 순도의 검정은 2~30% polyacrylamide porosity gradient gel을 사용한 전기영동법으로 단일 band를 확인하였고 또한 분자량은 11%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에 의하여 134,000 dalton임을 추정하였으며 45,000 dalton의 3개의 subunits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았다. Schiff reagent에 의하여 분홍색 반응을 일으켰으므로 이것은 당단백질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당단백질은 토끼와 사람의 적혈구 모두에서 적혈구응집 반응이 일어났으며 사람의 혈액형중에서 적형구응집 정도는 A>B>O>AB형의 순서로 응집이 잘 일어났다. 당류에 의한 적혈구응집저해는 N -acetyl-D-galactoseamine 과 D-galactose에 의하여 일어났다.
        4.
        198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수도의 유전연구에 전기영동법을 도입함에 있어 기초조사를 하기 위하여 수도 조직내의 몇가지 산소가 부위별로 차이가 있는지 또한 생장 조절제인 GA를 처이함으로 같은 산소의 동위효소 pattern이 변하는지 '아끼바레'와 '유신' 두 품종을 사용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Isoelectrofocusing에 의한 종자, Shoot, Root의 Esterase, Phosphatase, Amylase 동위효소 pattern은 두 품종 모두 조직부위별로 다른 pattern을 보였다. 2. 7% polyacrglamide slab gel electrophoresis에 의한 Peroxidase 동위효소 pattern도 두 품종 모두 조직부위별로 다른 Pattern을 보였다. 3. GA(10/sup -5/)을 처리했을 경우 Esterase 동위효소 pattern은 '아끼바레'의 root와 '유신'의 shoot, root에서 대조구와 차이가 있었으며 Phosphatase의 동위효소 pattern은 '아끼바레'의 root에서 차이가 있었다. Amylase와 Peroxidase의 동위효소 pattern은 대조구와 GA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