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웨스 몽고메리의 썸 피킹에 의한 음색을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에 관한 연구이 며 그 음색의 특징을 알아보고, 큐베이스의 아날라이저를 통해 웨스 몽고메리의 톤을 분석함으로 써 초기 재즈의 재현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초기 재즈 기타리스트 중에 썸 피킹을 사용한 3명의 음색을 비교분석하고 웨스 몽고메리의 음색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이큐들 과 엔벨로프, 컴프레서를 가상악기에 적용하여 웨스 몽고메리의 가장 근접한 음색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이큐는 최대와 최소의 데시벨 한계가 가장 큰 스튜디오 이큐를 사용하여야 웨스 몽고메리 썸 피킹 음색에 가장 근접한 음색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스튜디오 이큐와 엔벨로프의 어택타임을 적용하여 그의 아날라이저 분석 그래프의 모양에 더 근접할 수 있었다. 셋째, 컴프레 서의 릴리즈와 트레숄드를 입력하여 완벽에 가까운 음을 구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초기 재 즈 기타리스트이자 그의 독창적이며 특징적인 음색을 분석한 후, 구현하여 현대 시대의 재즈 기타 리스트들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초기 재즈 기타 음 색구현과 가상악기 산업 발전에도 기여 할 수 있는 양분이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how to reproduce the tone of Wes Montgomery's thumb picking,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ne, and to analyze Wes Montgomery's tone through the analyzer of Cubase, thereby providing a new perspective on the reproduction of early jazz. To this end,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tone of three early jazz guitarists who used thumb picking, and applied various EQs, envelopes, and compressors to virtual instruments to implement Wes Montgomery's tone, which was able to derive the tone closest to Wes Montgomery's. First, the EQ should use a studio EQ with the largest maximum and minimum decibel limits to implement the tone closest to Wes Montgomery's thumb picking tone. Second, by applying the attack time of the studio EQ and envelope, we were able to get closer to the shape of his analyzer analysis graph. Third, by inputting the Realease and Threshold of the compressor, we were able to implement a sound close to perfectio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unique and distinctive tone of the early jazz guitarist and thought that it c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modern jazz guitarists by implementing i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early jazz guitar ton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virtual instrument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