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재즈 역사에서 인정받고 있는 베이스 연주자 레이 브라운의 즉흥연주 중 투필 베이스 라인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 현대 재즈 연주자들에게 그의 특징인 투 필 베이스 라인을 적용 및 재현하여 재즈의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연구방 법으로 재즈 음악에서 가장 기본적인 트리오 구성(피아노, 베이스, 드럼)에서 베이스의 워킹 베이 스 라인 중 레이 브라운의 연주곡 6곡을 선정하여 투 필 베이스 라인의 리듬과 하모니를 심층 분석 하였고 그 결과를 다른 3곡에 적용시켜 레이 브라운 스타일의 예제를 만들었다. 본 연구에서 레이 브라운의 선율적 특징과 화성적 특징, 그리고 리듬적 특징, 테크닉적인 특징을 분석하고 적용하였 고, 선율적 특징은 콜 앤 리스폰스 주법을 사용하였고, 화성적 특징은 가이드 톤 라인을 사용하여 도미넌트 모션을 4번째 박자에 사용하였다. 리듬적 특징으로는 투 필 베이스 라인에서 2분음표로 만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2, 4마디에서는 포비트 워킹 베이스 라인을 연주하여 리듬에 안정감을 더한다는 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이러한 레이 브라운의 고찰이 객관적인 자료로 남아 투 필 베이 스 라인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 다른 재즈 베이스 연주자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하고, 솔로 라인이 나 포 비트 워킹 베이스 라인, 솔리스트로서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1930년대에 일렉트릭 베이스가 개발되면서 음악 장르도 다양하게 발전하게 되었다. 이후 1980 년대에 양산형 베이스가 아닌 커스텀 베이스가 탄생하게 되었고 양산형 베이스와 다르게 커스텀 베이스는 연주자 선택에 맞게 최고의 목재와 하드웨어가 사용되면서 사운드 고급화를 성공시켰 다. 양산형 베이스보다 더 좋은 배음과 출력 값, 그리고 음길이도 더 지속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 은 가장 일반적인 양산형 베이스 대표 회사인 펜더와 커스텀 베이스의 대표적인 회사 포데라 브랜 드를 선별하여 배음을 분석하고 프로 큐 이퀄라이저를 통해 양산형 베이스 음색을 커스텀 베이스 음색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연구하고 어느 악기에도 고가의 커스텀 베이스의 소리를 재현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선정한 두 악기를 로직으로 녹음한 후, 배음을 분석하고 그 차이 점을 통해 프로큐에서 각 프렛의 음정마다 이큐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 과, 전체를 하나의 이퀄라이저로 설정하는 것보다 84개의 프렛마다 배음 분석한 액티브 픽업 방식 의 이큐를 설정하는 것이 더 섬세하고 정확한 소리를 만들 수 있었고, 저음역대와 중음역대, 고음 역대에서 양산형 베이스보다 커스텀 베이스가 배음 차이가 적고 일정하기 때문에 음역대별로 더 고급화된 소리가 구현되었다는 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웨스 몽고메리의 썸 피킹에 의한 음색을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에 관한 연구이 며 그 음색의 특징을 알아보고, 큐베이스의 아날라이저를 통해 웨스 몽고메리의 톤을 분석함으로 써 초기 재즈의 재현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초기 재즈 기타리스트 중에 썸 피킹을 사용한 3명의 음색을 비교분석하고 웨스 몽고메리의 음색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이큐들 과 엔벨로프, 컴프레서를 가상악기에 적용하여 웨스 몽고메리의 가장 근접한 음색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이큐는 최대와 최소의 데시벨 한계가 가장 큰 스튜디오 이큐를 사용하여야 웨스 몽고메리 썸 피킹 음색에 가장 근접한 음색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스튜디오 이큐와 엔벨로프의 어택타임을 적용하여 그의 아날라이저 분석 그래프의 모양에 더 근접할 수 있었다. 셋째, 컴프레 서의 릴리즈와 트레숄드를 입력하여 완벽에 가까운 음을 구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초기 재 즈 기타리스트이자 그의 독창적이며 특징적인 음색을 분석한 후, 구현하여 현대 시대의 재즈 기타 리스트들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초기 재즈 기타 음 색구현과 가상악기 산업 발전에도 기여 할 수 있는 양분이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