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 참가자의 현업적용도와 관련 변인, 직무몰입 및 직무성과와의 영향 관계 - KCI 등재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s Digital Transformation Training Program - Participants' On-the-job Application and Related Variables, Job Involvement and Impact on Job Performanc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0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는 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교육의 효과성 분석을 위하여, K사 디 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교육에 참여한 수료자 679명을 대상으로 2023년 11월 20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설문 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학습자들의 나이, 직급 등 일반적인 특성을 포함하여, 개인특성으로 자기효능감, 학습 민첩성,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과정 특성으로 교육 만족도, 내용 이해도, 강사 전문성, 업무 관련성, 조직풍토 특성으로 전이기회, 상사지원, 그리고 현업적용도, 직무몰입, 직무성과에 대한 질문을 포함한 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현업적용도 평균 차이 분석결과, 성별, 연령대, 직급, 수강영역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교육 참여 횟수, 교육 전/후 학습모임 참여 경험, 교육 전 파이썬 프로그램 활용 경험 수준에 따른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특성, 교육과정 특성, 조직풍토가 현업적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특성 중에서는 자기효능감, 교육과정 특성에서는 내용 이해도, 조직 풍토에서는 전이 기회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내용 이해도, 전이 기회, 자기효능감 순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업적용도와 직무몰입,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현업적용도는 직무몰입과 직무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업적용도와 직무 성과와의 관계를 직무몰입이 완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교육 프로그 램에 참가한 학습자가 교육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현업에 적용하고, 직무에 몰입함으 로써 직무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하위변인을 반영한 최적 모형 도출 결과, 개인특 성인 자기효능감은 교육과정 특성의 내용이해도와 조직풍토의 전이기회를 매개로 현업적용 노력과 실제 현업적용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현업적용 노력에는 내용이해도가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실제 현업적용에 는 전이기회가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수행을 위한 시사점과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679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digital transformation(DT) programs provided by the Company K, aiming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DT programs. The survey encompassed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position, as well as individual traits including self-efficacy, learning agility, data literacy. It also delved into educational aspects such as satisfaction, comprehension, instructor expertise, work relevance, and organizational climate factors like transitional opportunities, supervisor support, job involvement, and job performanc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actical applica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group, position, and course area.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ased on DT program participation frequency, engagement in pre/post-learning gatherings, and pre-education experience with Python. Secondly, the impact of personal traits, educational aspects, and organizational climate on practical application was examined.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in educational aspects, comprehension; and in organizational climate, transitional opportunities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effects. The influence ranking was comprehension, transitional opportunities, and self-efficacy, respectively. Thirdly, practical application demonstrated static effects on job involvement and job performance, with job involvement fu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al application and job performance. Lastly, the optimal model, considering subvariables, revealed that personal trait self-efficacy influenced efforts for practical application and actual practical applica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educational aspect comprehension and organizational climate transitional opportunities. Notably, comprehension had a greater impact on practical application efforts, while transitional opportunities had a greater impact on actual practical applic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outcom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디지털 전환과 기업교육
    2. 교육 효과성
    3. 현업적용도 관련 변인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변수의 측정
    4. 자료의 분석
Ⅳ.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현업적용도 차이
    2. 현업적용도와 관련변인의 관계
    3. 현업적용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4. 연구변인 간 최적경로
Ⅴ. 논의 및 결론
    1. 요약 및 결론
    2.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지환(기아 HRD솔루션팀 책임매니저) | Kim Ji Hwan
  • 허재은(에이모 HR팀 매니저) | Heo Jae Eun
  • 이승연(기아 조직개발팀 책임매니저) | Lee Seung Ye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