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형식학습 참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과 인재우대 인식을 중심으로 - KCI 등재

The Role of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on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Perceptions of Informal Learning Effectiveness and HR-Oriented Policy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0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에서 기업들이 살아남기 위한 효율적인 경영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업은 미래를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으면서, 반대로 경기침체의 상황에서 생존하기 위한 비용 절감도 필요한 상충적인 상황에 놓여있다. 그에 따라 미래를 위한 투자의 일환으로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현재 보유하고 있는 인적자원의 역량을 높여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기업 특유의 기술에 대한 구성원들의 교육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기업 특유의 기술에 대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는 형식교육과 더불어 무형식학습에 의한 교육이 중요하며, 이러한 경향에 따라 무형식학습에 대한 연구 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형식학습을 통해 기업 특유의 기술에 대한 역량이 높아진 구성원은 직무수행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자기효능감이 증가하여 직무에 대한 만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는 구성원의 인재우대 인식으로 더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구성원이 조직의 인 재우대를 높게 인식하고 있다면, 제도의 수용성이 높아지고 이는 무형식학습의 효과성을 높여 직무만족 이 높아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무형식학습 참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을 살펴보고, 이 관계가 인재우대 인식에 따라 조절되는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무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둘째, 무형식학습 참여와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본다. 셋째, 무형식학습 참여와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의 관계에서 인재우대 인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무형식학습 참여 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의 매개효과가 인재우대 인식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 펴보도록 한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 2020년 근로자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자료분석 결과 첫째, 무형식학습 참여는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둘째, 무형 식학습 참여는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무형식학습 참 여와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의 관계는 인재우대 인식이 높을수록 정적인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무형식학습 참여가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을 매개하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인재우대 인식이 높을수록 더 강하게 나타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 한 연구결과를 통해 무형식학습의 실행과 효과에 대해 고민하는 실무자들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ole of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on job satisfaction and how this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perceptions of HR-oriented policy. To meet this objective,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and perceived effectiveness of informal learning; secondly, this study evaluates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effectiveness of informal lear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and job satisfaction. Third, we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HR-oriented poli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and perceived effectiveness of informal learning.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effectiveness of informal learning is moderated by perceived HR-oriented poli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informal learning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informal learning effectiveness, and second, informal learning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perceived informal learning effectivenes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and perceived informal learning effectiveness was stronger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HR-oriented policy. Finally, we demonstrate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which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participation on job satisfaction via perceived informal learning effectiveness was stronger when HR-oriented policy perception was higher.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concerned with the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of informal learning.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1. 무형식학습 참여와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
    2. 직무만족과 무형식학습과의 관계
    3. 인재우대 인식의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변수의 측정
Ⅳ. 분석결과
    1. 상관관계 및 기술통계
    2. 가설검증
Ⅴ. 결론 및 토의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해석
    2.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이창수(국립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박사수료) | Lee Chang Soo
  • 김현옥(국립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조교수) | Kim Hyun O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