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s of Sound and Illumination on Pupil Size and Accommodation KCI 등재

음향 및 조도가 동공 크기 및 조절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2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노래의 템포(bpm) 및 데시벨(dB)에 따른 동공 크기 및 동적 조절 변화를 비교하고, 빛의 유무에 따른 차이도 비교해 보고자 한다. 방법 : 연구 대상은 안질환이나 시각 장애가 없는 성인 20명(남자 10명, 여자 10명, 평균연령 24.25±3.99세) 이었다. 완전 교정 상태에서 명소시에서 6 m 거리의 시표로, 암소시에는 무한대 거리로 측정하였다. 두 조건 모두 헤드셋을 착용하여 네 가지 음악 드럼(D), 메탈(M), 외국 팝(F), 클래식(C)을 들었을 때 동공 크기와 조절 반응의 변화를 각각 40 dB 미만, 60 dB 미만, 80 dB 이상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bpm 및 dB에 따른 자극이 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0). 두 조건 모두 동일한 dB에서 bpm 이 달라졌을 때 자극량의 차이는 있었으나, bpm 변화에 따른 동공 크기와 동적 조절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 동공 크기와 동적 조절 변화량을 조도에 따라 비교했을 때, D 장르의 40 dB(p<0.050)과 F 장르의 60 dB (p<0.050)에서 동공 크기 변화량의 차이가 있었다. 조도가 없을 때 동적 조절 변화량이 더 증가하여, bpm과 dB에 따른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0). 결론 : 본 연구 결과, 각 노래의 bpm과 dB에 따른 동공 크기와 동적 조절 변화는 자극의 유무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암소시에서는 동적 조절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명소시에서는 동공크기 변 화가 컸다.

Purpose : This study compared changes in pupil size and dynamic accommodative response based on the tempo (bpm) and decibel (dB) levels of a song, as well as differences under different illuminance conditions. Methods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 adults (10 men, 10 women, mean age 24.25±3.99 years) without ophthalmic disease or visual impairment. Measurements were made with a 6 m distance target in photopic vision and with infinity distance in scotopic vision under full correction conditions. In both conditions, they wore headsets and listened to four types of music: drum (D), metal (M), foreign pop (F), and classical (C). The changes in pupil size and accommodative response were measured and compared at less than 40 dB, less than 60 dB, and more than 80 dB, respectively.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0) when there was a stimulus based on bpm and dB. The amount of stimulation varied in both cases when the bpm changed by the same dB, however the pupil size and dynamic accommodative response did not vary significantly in response to the bpm change. When the dynamic accommodative response and pupil size were evaluated based on illumina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upil size change for genre D at 40 dB (p<0.050) and genre F at 60 dB (p<0.050). The dynamic accommodative response increased further in the absence of illumination,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groups according to bpm and dB (p<0.050). Conclusion : The study’s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stimulus had an impact on the pupil size and the dynamic accommodative response based on the bpm and dB of each song. There was more dynamic accommodative change under scotopic condition while pupil size was changed more under photopic condition.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2. 연구 방법
    3. 통계분석
Ⅲ. 결 과
    1. 명소시 조건에서 동공 크기 변화 비교
    2. 명소시 조건에서 동적 조절 변화 비교
    3. 암소시 조건에서 동공 크기 변화 비교
    4. 암소시 조건에서 동적 조절 변화 비교
    5. 명소시와 암소시 조건에서 동공 크기 및 동적 조절변화량 비교
Ⅳ. 고 찰
Ⅴ. 결 론
Acknowledgement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요 약
저자
  • Min-Jee Kim(Dept. of Optometry, Daegu Catholic University, Student, Gyeongsan) | 김민지 (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경산)
  • Byoung-Sun Chu(Dept. of Optometry, Daegu Catholic University, Professor, Gyeongsan) | 추병선 (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경산)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