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사회과에서의 금융교육 내용 요소 분석 : 교수요목기에서 7차 교육과정까지

Financial Education Contents Analysi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6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금융교육연구 (Journal of Financial Education)
한국금융교육학회 (Korea Association of Financial Education)
초록

이 연구에서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금융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초기의 교육과정에서 금융교육 관련 내용은 대체로 은행이나 조합과 같은 금융기관에 대한 이해와 절약 및 저축에 대한 강조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이후 교육과정이 개정을 거듭하는 과정에 서 금융기관에 대한 이해와 절약에 대한 강조는 점차 줄어들었으며, 가정의 수입과 지출에 대한 이해와 이에 바탕을 둔 현명한 소비와 같은 가계의 재무관리 측면이 부각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교육과정이 여러 변화를 거듭하는 과정에서도 저축에 대한 강조는 약화되지 않았다. 넷째, 보험, 예금, IMF 등과 같이 일회적으로 등장했다가 사라진 금융교육 내용 요소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volution􀀁 of􀀁 financial􀀁 education􀀁 content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7th􀀁 Revised􀀁 Curriculum.􀀁 The􀀁 summarize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2nd􀀁 Curriculum,􀀁 during􀀁 the􀀁 early􀀁 stages􀀁 of􀀁 Korea's􀀁 educational􀀁 development,􀀁 financial􀀁 education􀀁 primarily􀀁 focused􀀁 on􀀁 understanding􀀁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banks,􀀁 and􀀁 emphasizing􀀁 resource􀀁 conservation􀀁 and􀀁 frugality.􀀁 Second,􀀁 as􀀁 the􀀁 curriculum􀀁 underwent􀀁 multiple􀀁 revisions,􀀁 the􀀁 emphasis􀀁 on􀀁 understanding􀀁 financial􀀁 institutions􀀁 and􀀁 frugality􀀁 gradually􀀁 diminished.􀀁 Instead,􀀁 there􀀁 was􀀁 a􀀁 growing􀀁 focus􀀁 on􀀁 aspects􀀁 of􀀁 household􀀁 financial􀀁 management,􀀁 such􀀁 as􀀁 understanding􀀁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s􀀁 and􀀁 making􀀁 informed􀀁 consumption􀀁 decisions.􀀁 Third,􀀁 throughout􀀁 the􀀁 various􀀁 changes􀀁 in􀀁 the􀀁 curriculum,􀀁 the􀀁 emphasis􀀁 on􀀁 saving􀀁 has􀀁 consistently􀀁 remained􀀁 strong􀀁 without􀀁 any􀀁 decline.􀀁 Fourth,􀀁 certain􀀁 financial􀀁 education􀀁 elements,􀀁 such􀀁 as􀀁 insurance,􀀁 savings􀀁 accounts,􀀁 and􀀁 the􀀁 IMF,􀀁 appeared􀀁 sporadically􀀁 in􀀁 the􀀁 curriculum.

목차
요약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초등 금융교육과정의 변천
    1. 교수요목기
    2. 1차 교육과정기
    3. 2차 교육과정기
    4. 3차 교육과정기
    5. 4차 교육과정기
    6. 5차 교육과정기
    7. 6차 교육과정기
    7. 7차 교육과정기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재근(대구교육대학교 교수) | Kim Jaegeu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