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잠재계층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 D 대학을 중심으로 KCI 등재

Latent Class Analysis of College Life Adjustment Patterns and Exploration of Influencing Factors : Focusing on D Univers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8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D 대학을 중심으로 대학생활 적응양상(대인관 계, 학업활동, 진로준비, 개인심리, 사회체험)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 고 그 영향요인(성별, 나이, 학년, 계열, 전형유형)을 살펴보려는 목적으 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D대학에 재학중인 597명의 대학생이 포함 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명변수, 영향변수 간의 상관분 석에서 GPA(학업성취도)는 대인관계를 제외한 모든 대학생활적응 하위영 역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며, 상관계수는 정적으로 나타났 다. 둘째, 잠재계층분석에서는 4개의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연구 대상 의 55%는 중도형 대학생활적응 집단(계층 1), 11%는 소극형 대학 생활 적응 집단(계층 2), 27%는 적극형 대학생활적응 집단(계층 3), 7%는 선 택형 대학생활적응 집단(계층 4)로 구분되었다. 셋째, 잠재계층 간 비교 에서는 계층3, 계층1, 계층2 형태는 성취 및 만족도 차이가 순서대로 낮 게 나타났으나, 계층 4의 경우는 성적 및 취업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 는 활동 및 참여가 적은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입학유형에 따른 학 생들의 잠재적 특성을 밝혀내어, 이에 맞는 효과적인 학교생활적응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tent classes according to college life adaptation patterns and analyze their influencing factors, focusing on D Univers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97 students,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GPA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college life adaptation sub-areas excep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college life adaptation sub-areas. Second, in the latent class analysis, it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It was divided into the moderate college life adaptation group (class1, 55%), the passive college life adaptation group (class2, 11%), the active college life adaptation group (class3, 27%), and the selective college life adaptation group (class4, 7%). Third, in the comparison between latent classes, it was found that classes 3, 1, and 2 had differences i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대상
    2. 연구도구
    3.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
    2. 대학생활적응 잠재계층유형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오은주(단국대학교) | Oh Eunjoo (Dankook University)
  • 김형수(단국대학교) | Kim Hyoungsoo (Dankoo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