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축제 이해관계자들의 역할 연구를 통한 서울시 도시 브랜딩 전략 KCI 등재

Seoul City Branding Strategy through Study of the Roles of Festival Stakehold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8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서울의 두 주요 축제인 '하이서울페스티벌'과 '서울세계불꽃축 제'를 중심으로 축제와 도시 브랜딩 간의 관계를 탐구하고, 이해관계자 역할 의 중요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공 주도와 민간 주도 축 제의 특성, 정부의 역할과 규제가 축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축제가 서울 의 도시 브랜딩에 기여하는 방식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 접근법을 채택하여 46명의 축제 관계자 및 참가자들과의 심층 인 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주제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축제의 소유권과 운영 방식이 축제의 성격과 도시 브랜딩 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의 역할과 규제 수준이 축 제의 창의성, 자율성,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축 제는 서울의 도시 브랜드 강화에 기여하고 있으나, 정치적 변화에 따른 도시 브랜드 슬로건의 잦은 변경이 일관성 있는 브랜드 구축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넷째, 축제의 문화적 콘텐츠가 도시 브랜드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해관계자들 간의 협력이 축 제의 성공과 도시 브랜딩에 핵심적인 요소임이 드러났다. 연구의 결과는 축 제와 도시 브랜딩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효과적인 도시 브랜딩을 위한 축제 활용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특히 이 해관계자들의 역할과 협력 방안을 분석함으로써, 축제의 성공적인 운영과 도 시 브랜드 강화를 위한 통합적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s and city branding, focusing on two major festivals in Seoul: 'Hi Seoul Festival' and 'Seoul World Fireworks Festival'. It analyzes the importance of stakeholder roles, particularl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led and private-led festivals, the impact of government roles and regulations on festivals, and how festivals contribute to Seoul's city branding. The research method adopted a qualitative approach,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46 festival stakeholders and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ownership and operation method of festival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nature of the festival and city branding. Second, the government's role and level of regulation affect the creativity, autonomy, and public nature of festivals. Third, while festivals contribute to strengthening Seoul's city brand, frequent changes in city brand slogans due to political changes hinder the construction of a consistent brand. Fourth, the cultural content of festivals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city's brand identity. Fifth,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was revealed to be a key factor in the success of festivals and city bran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s and city branding, and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utilize festivals for effective city branding. In particular, by analyzing the roles of stakeholders and cooperation methods, it proposes an integrated approach for successful festival operation and city brand enhancement.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1. 축제 관련 선행연구
    2. 대한민국 서울의 축제
    3. 축제 이해관계자
    4. 도시 브랜딩
Ⅲ. 연구방법
    1. 심층 인터뷰
    2. 파일럿 테스트
    3. 방법론
Ⅳ. 결과 및 논의
    1. 주요 결과
    2. 주요 발견 및 논의
Ⅴ.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2. 시사점
    3. 한계점
<참고문헌>

저자
  • 임혜원(안양대학교) | Haewen Lim (Any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