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사 및 순직군인에 대한 국가보상 실태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f the State Compensation for Soldiers who Died on Official Duty and Killed in A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8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전사 및 순직군인에 대한 국가보상 은 부족한 면이 많다. 독립유공자, 5.18민주화 유공자, 사회적 사건사고 의 희생자 유족들에 대한 보상과 비교했을 때 사망보상금이나 보훈급여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국가보훈부에서 추가로 지원하는 보훈보상제 도의 내용과 대상 범위도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전사 및 순직군인에 대한 국가보상 실태를 분석하고 다른 유형의 국가보훈대상자와 사회적 사건사고 희생자에 대한 보상실태와 비교해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국가보상과 관련된 현행 법령 자료, 사회적 사건사고 관련 언론보도 자료, 기존에 발표된 논문과 단행 본 등을 분석하는 문헌연구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발전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사 및 순직군인에 대한 보훈급여를 1등급 독립유공자 수준으로 인상하고, 사망유형에 따라 달리 지급하는 사망보 상금의 격차를 줄이도록 산정기준을 조정해야 한다. 둘째, 보훈급여 외 추가로 지원되는 보훈보상 범위를 독립유공자나 5.18민주화유공자와 동 일한 수준으로 확대해야 한다. 셋째, 군인에 대한 배상을 제한하는 법령 을 개정해서 지방자치단체 등으로부터 추가로 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허 용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e of national compensation for soldiers killed in action and soldiers killed in action and to present a development plan compared to the state of compensation for other types of veterans and victims of social incidents. The research method applied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that analyzes current legal data related to national compensation, media press data related to social incident accidents, and previously published papers and book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development plan was derived. First, veterans' benefits for warriors and veterans on the line of duty should be raised to the level of first-class independence fighters, and the calculation criteria for death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death should be adjusted. Second, the scope of veterans' compensation additionally supported in addition to veterans' benefits should be expanded to the level of independence fighters. Third, the laws and regulations should be revised to allow additional compensation from local government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국가보훈제도
    2. 군인 사망자 분류와 보훈 보상
    3. 선행연구
Ⅲ. 전사 및 순직군인에 대한 보상실태 분석
    1. 보훈급여
    2. 급여 외 추가 지원 실태
    3. 다른 보훈대상 및 사회적 주요 사건사례와 비교
Ⅳ. 문제점과 발전방안
    1. 문제점
    2. 발전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의식(용인대학교) | Euisik Kim (Yongin university)
  • 신미애(대진대학교) | Mi-ae Shin (Daeji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