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출전을 위한 전국기능경기대회 의상디자인 과제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the National Skills Competition Fashion Technology tasks for Participation in the World Skills Olympic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8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기능올림픽대회를 준비하는 청년디자이너들에게 전국기능경기대회 기출과제의 경향을 분석하여 국제대회에서 원활한 과제 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2009년부터 2024년까지 마이 스터넷에 공개된 전국기능경기대회, 국가대표선발전, 국제기능올림픽대회의 의 상디자인 직종 출제 과제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국기능경기대 회의 의상디자인 출제 과제로 가장 많이 다루어진 의복 아이템은 재킷과 스커 트로 구성된 수트이며, 스타일선으로는 숄더 프린세스라인이 가장 많이 사용 되었다. 여밈 형태에서는 싱글 여밈이 가장 많았으며, 칼라는 테일러드 칼라 와 노치드 라펠이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소매 디자인은 주로 두 장 소매가 사용되었으며, 포켓은 심 포켓과 웰트 포켓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국내 국 가대표선발전과 국제기능올림픽의 출제 경향을 비교해 보면, 국가대표 선 발전에서는 동일한 디자인의 의상을 정확한 치수로 제작하는 '의복 제조' 과제가 주를 이루는 반면, 국제기능올림픽에서는 선수들의 독창적인 아이 디어를 의상에 표현하는 '창작 디자인' 과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다. 따라 서 국내 기능경기대회의 과제 출제 방식을 국제대회 기준에 맞추어 조정 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우리 선수들이 국제무대에서의 경쟁력과 적 응력을 키워, K-패션의 글로벌 위상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young designers preparing for the World Skills Olympics with the basic data for smooth performance at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by analysing the trends of the tasks in the National Skills Competi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tasks of the Fashion Technology occupation in the National Skills Competition, National Selection Competition, and World Skills Olympics published on Meister-Net from 2009 to 2024. The most common garment item in the Fashion Technology section of the National Skills Competition was a suit consisting of a jacket and skirt, and the most common style lines were shoulder princess lines, tailored collars, and notched lapels. In addition, while the ‘garment manufacturing’ task, which involves the exact production of a garment of the same design, is the main focus of the national selection, the ‘creative design’ task, which involves the expression of the athlete's original ideas on the garment, is more common at the International Functional Olympics. Therefore, in order to help our athletes adapt to international competitions, we propose to adjust the way the tasks are presented in domestic functional competitions to meet international standards.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연구방법 및 분석개요
    1. 분석대상 및 자료수집
    2. 연구절차 및 분석개요
Ⅲ. 결과 및 분석
    1. 전국기능경기대회 출제과제 분석
    2. 전국기능경기대회 출제 과제의 세부 항목별 분석
    3. 국내 국가대표선발전과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출제과제 분석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구미란(경남대학교) | Miran Koo (Kyungnam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