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Impact of Sectoral Aid on Economic Growth in Nepal KCI 등재

부문별 원조가 네팔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8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이 논문은 해외원조가 네팔의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사 회 부문, 경제 부문, 생산 부문, 다중 부문의 네 가지 주요 부문으로 세 분화되었다. 실증 결과를 얻기 위해 2002년부터 2023년까지의 시계열 연간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기회귀시치분포(ARDL)모형을 사용하였다. 이 논문의 실증 결과는 해외 원조와 경제 성장 간의 장기적인 관계를 확인 시켜주었다. 집계된 해외 원조는 네팔의 경제 성장에 부정적이고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었다. 반면, 외국 원조를 부문별로 세분화하면 그 영향이 달라졌으며, 사회 부문과 경제 부문에 대한 원조는 경제 성장 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는 반면, 생산 부문과 다중 부문에 대한 원조는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통계적으로 일관되지 않았다. 따 라서 이 연구는 공여국과 수원국 모두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연 구의 결과는 외국 원조로부터 상당한 혜택을 얻으려면 사회 및 경제 부 문에 대한 투자가 측정 가능한 성장 성과를 내기 때문에 우선순위를 두 어야 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생산 및 다중 부문 원조로부터 긍정적인 영 향을 실현하려면 잘 정의된 목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따 라서 혜택을 보장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는 정책 개입을 설계하 고 집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foreign aid on economic growth in Nepal, disaggregating it into four major sectors: social, economic, production, and multi-sector. Using th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 model and time-series data from 2002 to 2023, the study identifies a long-run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aid and economic growth. Aggregated foreign aid negatively affects economic growth in Nepal. However, sectoral disaggregation reveals varied outcomes: aid to the social and economic sectors positively influences growth, while aid to the production and multi-sectors has a negative, though statistically inconsistent, impact.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targeted strategies to maximize foreign aid benefits. Investments in social and economic sectors should be prioritized for measurable growth outcomes, whereas production and multi-sector aid require clear, well-defined plans to yield positive results. The study offers critical insights for policymakers and donor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aid in fostering sustainable development.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Research Methodology
IV. Result and Discussion
V. Conclusion

<논문요약>
저자
  • Birendra Narayan Shah(Gangseo University) | 비렌드라 (강서대학교)
  • YoungJib Yoon(Gangseo University) | 윤영집 (강서대학교)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