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기 한국교회 연합운동에 관한 선교적 연구: 개신교 복음주의 선교 연합공의회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Missional Study on the Church Union Movement in the Early Korean Church: Focused on the General Council of Protestant Evangelical Miss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9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한국개신교는 로버트 매클레이(Robert Samuel Maclay, 1824~1907) 감리교 선교사가 한국에 입국하여 고종으로부터 의료와 교육 부문의 개신교 선교를 윤허 받은 1884년 이후 지난 141년 동안 급격한 성장과 발전을 이룩했다. 하지만 개신교의 분열과 갈등은 여전 히 한국개신교가 풀어야 하는 숙제이다. 188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 된 한국개신교 선교 초기에는 감리교와 장로교는 성서번역에 있어서 협력하는 차원에 머물렀지만, 1905년 한국개신교 복음주의 선교 연합 공의회(The General Council of Protestant Evangelical Missions in Korea)를 시작으로 한국 토착적인 하나의 복음주의 교회(one native evangelical church)를 설립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905년 시작된 개신교 복음주의 선교 연합공의회를 중심으로 내한 선교사들이 한국에 하나의 토착적인 복음주의 교회를 설립하고자 시도했던 배경과 과정, 그리고 이것이 실패한 결정적인 이유를 다루고 있다. 이 논문을 통해 사분오열된 한국 개신교회와 그들이 파송한 각 교단 한인 선교사들이 자신이 있는 자리에서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를 위해 진정한 연합을 이룰 수 있는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기를 바란다.

Korean Protestant Christianity has experienced rapid growth and development over the past 141 years, since Robert Samuel Maclay arrived in Korea in 1884. However, the divisions and conflicts within Protestantism remain a significant challenge for Korean Christianity.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General Council of Protestant Evangelical Missions in Korea in 1905, there was a concerted effort to create a unified native evangelical church. This study focuses on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missionaries’ attempts to establish one native evangelical church in Korea, as initiated by the council in 1905, and examines the decisive reasons for its failure. The paper explores the fragmented state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and seeks practical, historical alternatives for genuine unity among Korean missionaries sent by various denominations, emphasizing the mission of God (missio Dei) in their respective contexts.

목차
한글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초기 한국교회 연합운동
    1.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협력과 갈등
    2. 한국개신교 복음주의 선교 연합공의회
    3. 원산대부흥과 한국교회 연합
    4. 찬송가, 선교잡지, 신문
    5. 하나의 토착적인 복음주의 교회
    6. 교회 연합에 대한 반대
    7. 연세대학교
    8. 이후의 연합운동
III. 나가는 말
주제어
Abstract
참고 문헌
저자
  • 김칠성(목원대학교 교수, 선교역사) | Chil-Sung Kim (Professor, Mokwon University, Mission History)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