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in Child Care Teachers on Job Exhaus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95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전국상담복지연구 (National Counseling Welfare Research)
전국상담복지학회 (National Counseling Welfare Academy)
초록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가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긍정 심리자본이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표면적행위, 내면적행위)은 직무소진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감정노동(표면적행위, 내면적행위)은 긍정심리자본(자기효능감, 희망, 회복력, 낙관주의)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자기효능감, 희망, 회 복력, 낙관주의)은 직무소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의 표면적행위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 (자기효능감, 희망, 회복력, 낙관주의)은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으로 인한 직무소진을 줄일 수 있는 방 법을 모색하고 해결을 위한 긍정심리자본을 높여야 한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은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rves as a parameter, regarding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facilities on burnout. It was found that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exterior and interior behaviors) has the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and that exterior and interior behavior factors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exert the significant positive (+) and negative (-) effects on burnout, respectively. it was shown that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exterior and interior behaviors) has the significant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hope, resilience, optimism). it was found that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hope, resilience, optimism) has the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burnout. all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hope, resilience, optimism) showed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 between exterior behaviors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job burnout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목차
개 요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감정노동
    2. 긍정심리자본
    3. 직무소진
    4.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
    2. 연구모형 검증
    3. 연구가설 검증
Ⅴ. 결론
    1. 결과요약
    2. 함의
    3. 제언
참 고 문 헌
저자
  • 박순하(칼빈미래평생교육원 교수)
  • 이재풍(칼빈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