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북한이탈주민의 직업 정체성 형성 고찰 : Charmaz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접근 KCI 등재

A Study on the Occupational Identity Form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 Charmaz's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95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 사회에서 직업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직업 정체성의 현상과 맥락, 원인, 조건, 결과, 정황성 등을 9 명의 연구참여자를 통해 분석하고, 이들의 직업 정체성 강화를 위한 정 책에 대한 실천적인 제언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Charmaz 가 제안한 구성주의 근거이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의 함의는 북한이 탈주민들이 직업 활동을 통해 일 자유의지를 발현하며, 자신들이 북한이 탈주민의 역할 모델이라는 책임감 속에서 직업 정체성이 형성된다는 점 이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직업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자기 주도 적인 직업능력 강화를 비롯하여 긍정적인 심리적 자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북 한이탈주민 정착 지원 기관에서 직업 윤리 및 가치, 이타적 직업의 의미 를 강조하는 교육의 필요성, 둘째, 북한이탈주민들이 자신의 직업적 일 자유 의지를 발현할 수 있도록 삶의 의미 추구와 직업 소명 의식을 강화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셋째, 괜찮은 일자리 확보를 위한 교육 훈련의 필 요성도 강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forming occupational ident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nine research participants and to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their occupational identity. Approaching with Charmaz's constructivist research method,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implication that North Korean defectors' occupational identity through occupational activities is formed from their free will to work and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as role model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at self-directed occupational ability enhancemen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cess of forming occupational identity. Based on these results, first, it is argued that institutions that support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need education that emphasizes occupational ethics, values, and the meaning of altruistic occupations. Second, it is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ursuit of meaning in life and occupational calling so that North Korean defectors can express their occupational free will. Third, it also emphasizes the need for education and training to secure decent job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구성주의 근거이론의 적용
    2. 연구참여자 선정
    3. 자료수집 및 분석
    4. 윤리적 문제와 엄격성
Ⅲ. 연구결과
    1. 이론적 코딩범주를 중심으로 한 직업 정체성에 대한 해석적 기술
    2. 이론적 레파토리에 기초한 직업 정체성 모델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혜영(경기대학교) | Kim Hye-young (Kyongg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