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ixed-methods study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teaching model utilizing the metaverse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의 기존 메타버스 관련 개별 연구를 혼합연 구의 방법으로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수업 모형 개발을 통해 구체적인 교 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일차 선정된 한국 어교육 분야의 학술지 논문 및 학위논문 52편을 대상으로 통합 요소를 도출하고, 양적·질적·혼합적 방법으로 결과를 통합하였다. 먼저 양적 통 합 결과 교육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는 플랫폼, 학습자 대상 및 숙달도 수준의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혼합적 통합 결과 메타버 스 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과 기대, 몰입감 및 실재감과 관련된 의견을 통합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질적 통합 결과 기존 연구에서 제안한 수 업 모형 사례를 분석하고 교육 방안과 방향성 내용을 통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활용 모듈식 한국어 수업 모형을 제안 하였다. 이 모형은 지식 중심, 상호작용 중심, 수행 중심 모듈로 구분되 며 수업 환경이나 학습자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효용성이 높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analyze existing individual metaverse-related studie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using mixed-methods and to suggest specific educational pla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teaching model. To this end, first, integrated elements were derived from 52 initially selected academic journal papers and dissertation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results were integrated using mixed-methods. As a result of quantitative integration, trends in platforms commonly used in the education field, target learners, and their proficiency levels were identified. And as a result of the mixed integration, it was possible to integrate opinions related to perceptions, expectations, immersion, and sense of presence regarding metaverse classes. Finally, as a result of qualitative integration, examples of teaching models proposed in existing studies were analyzed and educational directions were integrated.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d a modular Korean language teaching model. This model is divided into knowledge-centered, interaction-centered, and performance-centered modules,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is structured so that i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class environment or lear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