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다층거버넌스(MLG) 관점에서 지역특화형 비자 도입을 이민 정책의 사례로 분석한다. 특히 본고는 경상남도 사례를 고찰하였다. 한국 은 저출산, 고령화, 지방소멸이라는 심각한 인구 위기에 직면하여, 2023 년부터 지역특화형 비자 시범사업을 시행하여 인구감소와 지역경제 침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경상남도는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밀양 시,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합천군 등 인구감소 지역에 서 동 제도를 운영하며 그 효과를 검증하고 있다. 지역특화형 비자 제도 는 중앙정부, 광역지자체, 기초지자체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인 다층 거버넌스의 대표 사례이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가 이 거버넌스 구조 속 에서 정책을 어떻게 운영하는지, 정책적 자율성과 행정적 역량에 어떤 한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외국인 인재 유치와 지역 발전을 위 한 경상남도의 역할을 평가하며, 정책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 를 위해 본 연구는 정책운영에 직접 관여한 행정 담당자에 대한 심층 인 터뷰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수집하고, 정책 집행 과정에서의 주요 과 제와 성공 요인을 심층적으로 파악하였다. 본 논문은 지역특화형 비자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을 이루기 위한 정책적 개선 방향과 MLG 체계에서의 협력 방안을 제안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troduction of region-specific visas as an immigration policy case through the Multi-Level Governance (MLG) framework, focusing on Gyeongsangnam-do. South Korea faces a demographic crisis of low birth rates, aging, and regional decline. To address these challenges, a pilot program for region-specific visas was launched in 2023. Gyeongsangnam-do has implemented the program in areas like Geochang-gun and Namhae-gun, assessing its impact on population decline and economic revitalization. The program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ulti-level governance, requiring cooperation between central, provincial, and municipal governments. This study analyzes Gyeongsangnam-do’s policy operation, revealing limitations in autonomy and administrative capacit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key officials, the research identifies challenges and proposes strategies to enhance policy effectiveness and collaboration within the MLG 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