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의정부 문화공유공간 ‘사이공간’ 분석 : 제3의 공간의 관점에서 KCI 등재

An Analysis on the Cultural Sharing Space ‘Saigonggan’ in Uijeongbu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ird Pla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95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의정부 문화도시의 문화공유공간 프로그램인 ‘사이공간’을 레이 올든버그의 ‘제3의 공간’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향후 유사 한 문화도시 공간 사업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각종 문헌 및 온라인 자료 분석과 심층인터뷰를 채택하 였다. 연구 결과, ‘사이공간’은 ‘접근성’과 ‘편의성’ 측면에서 도심과 생활 권을 아우르는 분산 배치와 심리적 개방감을 조성하는 공간 설계를 통해 물리적, 심리적 장벽을 낮추었다. ‘평등성’과 ‘상호작용성’ 측면에서 모두 가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커뮤니티를 통해 이용자들 간의 자연스러 운 소통과 교류를 유도하며, 지역 내 소외 계층을 포용하는 환경을 조성 하였다. ‘유희성’과 ‘다양성’은 놀이와 창의적 활동을 결합한 맞춤형 프로 그램과 다목적 공간 활용, 예술 창작 및 공동체 활동을 병행하여 시민들 에게 색다른 경험과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하지 만 특정 연령층에 한정된 참여를 비롯해 지속 가능성에서 개선의 필요성 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도시 사업의 공간 이 ‘제3의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장애인과 노약자의 접근성을 강화해야 하며,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기획· 참여할 수 있는 커뮤니티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다양한 연령층과 배경을 포괄하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통해 공 간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SaiGonggan’ project, a cultural sharing space in Uijeongbu Cultural City, by applying Ray Oldenburg’s Third Places theory to propose policy insights for future cultural city projects. Using literature analysis, online data, and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finds that ‘SaiGonggan’ lower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barriers through location and user-friendly design, enabling citizens to enjoy cultural activities. It created a neutral environment for social interaction across diverse classes and ages through inclusive programs and communities, enhancing equality and interactivity. Playfulness and diversity were achieved through tailored programs combining creative activities and multifunctional space use. However, challenges include limited participation among certain age groups and program sustainability issues. To develop cultural city spaces as Third Places, the study recommends adopting inclusive designs for improved accessibility, resident-led community programs, and tailored activities that encompass various demographics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제3의 공간 개념과 특성
    2. 문화도시의 문화공유공간 사업과 ‘제3의 공간’
    3. 의정부 ‘사이공간’의 개념과 운영 현황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및 자료 수집
Ⅳ. 분석 결과
    1. 접근성
    2. 편의성
    3. 평등성
    4. 상호작용성
    5. 유희성
    6. 다양성
    7. 연구결과 종합
Ⅵ. 결론
    1. 연구 주요 결과
    2.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저자
  • 박종은(홍익대학교) | Jong-Eun Park (Hongik University)
  • 김선영(홍익대학교) | Sun-Young Kim (Hongi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