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일상 속 성차별 경험과 우울 간의 관 계에서 여성주의 정체성이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하고 20대 여성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 대 여성 16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 속 성차별 경험은 20대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 속 성차별 경험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여성주의 정체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0 대 여성이 일상에서 성차별을 경험할 때 여성주의 정체성의 수준이 높아 질수록 우울이 강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성차 별과 한국에서 만연한 반페미니즘 정서와 좀처럼 변화하지 않는 사회 모 습에 대한 괴리감이 우울감을 강화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20대 여성의 우울에 여성주의적 실천방법으로서 개입이 필요하며, 여성주의 정체성 수준이 높은 여성이 경험하는 우울에 대하여 환경적·제도 적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feminist 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eryday gender microaggressions and depression among women in their 20s.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practical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young women.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68 women in their 20s, an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veryday gender microaggress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on among women in their 20s. Second, feminist identity was shown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veryday gender microaggression and depression. Specifically, the results indicate that higher levels of feminist identity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depression when young women experienced gender microagression in their daily lives. This suggests that the persistent exposure to gender microaggression coupled with the pervasive anti-feminist sentiment and the slow pace of social change in Korea may intensify feelings of depression among women in their 20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feminist interventions to address depression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interventions to support women with strong feminist identities who experience heightened de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