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영유아 보육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저 출산 및 여성의 경제활동으로 인한 주 양육자의 부재를 들 수 있으며, 양육 에 대한 패러다임도 가족에서 사회와 국가의 책임으로 이양되면서 어린이집 교사의 영향력도 점점 커지고 있다. 수요자 중심의 보육서 비스는 사회적 측면에서 다양한 양육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보육 교사의 자질향상뿐만 아니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질 높은 보육활동을 요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영유아 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언은 첫째, 보육교사의 직 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어린이집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보육서비스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 인력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보육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 을 미치는 긍정심리자본을 향상하기 위하여 교사교육을 통한 긍정 심리자본의 함양이 필요하다. 넷째, 보육교사들에게 재충전할 기회 를 보장하여 복지혜택을 확대하는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보 육교사의 과중한 업무를 줄여주어 보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서 류의 간소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보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합리 적으로 반영시킬 수 있는 자율형 민간어린이집 인가가 필요하다. 직무만족의 중요성에 대한 영향력 분석을 통하여 보육교사와 영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향상하고 긍정심리자본을 높일 수 있는 방안 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factors that have the most impact on child care are the absence of a primary caregiver due to low fertility and women's economic activities. It's growing. Consumer-centered childcare services demand various childcare support from a social aspect, and it has become an opportunity to demand high-quality childcare activities through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as well as quality improvement of childcare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quality childcare services by increasing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promoting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by verifying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on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suggestions for providing quality childcare services are: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s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manpower support i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by promoting 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Third,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rough teacher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at affects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Fourth, a support policy is needed to expand welfare benefits by guaranteeing childcare teachers opportunities to recharge. Fifth, it is necessary to simplify documents so that childcare teachers can concentrate on childcare activities by reducing their heavy workload. Sixth, it is necessary to authorize an autonomous private daycare center that can reasonably reflect the social demand for childcare. It is meaningful that through the influence analysis on the importance of job satisfaction, it provided a way to improve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and to increas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