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베르트 모리조(Berthe Morisot, 1841∼1895)의 딸 줄리 초상화 연구

A Study on Julie Portrait by Berthe Morisot(1841-1895)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98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미술사문화비평 (Art History, Culture, Critique)
미술사문화비평학회 (Association of Art History, Culture & Critique)
초록

본 연구는 베르트 모리조(1841-1895)의 딸 줄리 마네(1878-1966) 초상화에 대 한 연구이다. 줄리 초상화는 1878년부터 1895년까지 125-150점 정도 제작되었다. 줄리 초상화는 모리조가 딸을 16년 동안 기록한 작품으로, 어머니의 모성을 보여주 는 모리조의 대표적인 작업이다. 딸 줄리는 모리조의 인생과 예술 세계에서 큰 전환 점이 되었으며,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모리조는 남성 중심적인 미술사에서 모성을 기반으로 딸의 초상화를 남겼다. 모리조는 하얀색을 사용하여 빛을 표현했고, 이를 통해 어머니로서 따뜻한 시선을 보여주었다. 또한 줄리의 성장 과정에 따라 초상화 배경을 변화시키면서, 아동관과 부르주아 생활상을 보여주었다. 유아기의 줄리 초상화는 주로 정원을 배경으로 하며, 아동기에는 불로뉴 숲을 배경으로 변화한다. 이후 어린 줄리가 부르주아 소녀로 성장 하면서 초상화 배경은 응접실로 변화한다. 모리조는 줄리 초상화를 통해 점차 독립적 인 성인으로 성장하는 딸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모리조는 여성 화가이자 어머니였기 때문에 가정 내에서 딸의 모습을 그릴 수 있 었고, 이러한 점에 동시대 남성 화가와의 차별성을 지닌다. 모리조는 줄리 초상화를 통해 헌신적인 어머니이자 전문 예술가로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었으며, 화가로서 모리조 자신의 성장과 변화를 보여주었다. 줄리 초상화는 19세기 후반 부르주아 소녀의 성장 기록으로서 가치가 있다. 또한 어머니가 직접 남긴 16년 동안의 딸 초상화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줄리 초상화를 성장 과정과 초상화 배경에 따라 정리하면서, 이를 통해 나타나는 아 동관과 부르주아 생활상을 살펴볼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portrait of Julie Manet(1878-1966), daughter of Berthe Morisot (1841-1895). Julie Portraits were produced in numbers of 125 to 150 between 1878 and 1895. The Julie portrait is a work that Morisot recorded over a period of 16 years, and is Morisot’s representative work that shows a mother’s maternal love. Her daughter Julie was a turning point in Morisot’s life and art, and a source of inspiration. In the male-centered history of art, Morisot left behind a portrait of her daughter based on motherhood. Morisot used white to express light, and through this, she showed a warm gaze as a mother. It also showed a view of children and bourgeois life, changing the portrait background according to Julie’s growth process. Julie’s portraits as an infant are mostly set in a garden, changing to the Bois de Boulogne as a child. As young Julie grows into a bourgeois girl, the portrait background changes to a drawing room. Through her portraits of Julie, Morisot showed her daughter gradually growing into an independent adult. Because Morisot was a female artist and a mother, she was able to portray her daughter within the home, and in this respect, she is different from contemporary male artists. Through Julie portrait, Morisot was able to establish her identity as a devoted mother and a professional artist, and she shows Morisot’s own growth and change as a painter. The Julie portrait is valuable as a record of the growth of a bourgeois girl in the late 19th century.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is a portrait of a daughter for 16 years left by her mother herself. Therefore, while organizing it according to the growth process and portrait background, this study will examine the view of children and bourgeois life that appears through Julie portrait.

목차
Ⅰ. 서론
Ⅱ. 줄리 초상화의 변화 양상
Ⅲ. 아동관과 부르주아 생활상
    1. 자연과 계몽주의 아동관
    2. 부르주아 여성의 생활상
Ⅵ. 결론
주제어(key Words)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
  • 임규연(숙명여자대학교) | Lim Kyuyen (Sookmyung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