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미술사문화비평 Art History, Culture, Critique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15집 (2024년 12월) 7

1.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제강점기 시기 전북의 1세대 서양화가 권우택과 작가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 는 전통, 민족, 낭만, 종교라는 4가지 키워드가 필요하다. 즉 첫째로 일제 식민 통치 에 대한 전북 지역의 전통적 저항 분위기와 둘째는 민족자본을 통해 설립된 고창학 교의 선생님과 한학자 송태회가 민족적 자긍심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민족성을 일 깨워주었던 교육적 배경, 셋째로 일본 유학 시절 동경미술학교 스승 후지시마 영향의 낭만주의 화풍과 1920년대 동양주의이다. 먼저 낭만주의 화풍은 그에게 고향에 대 한 향수로서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현실을 넘어 이상적인 관념과 연결하는 낭만적 화 풍으로 나타났다. 즉 권우택은 식민지 현실의 고통을 직면하여 이상적인 세계를 추구 하려는 시도로 파악되며, 감정적이고 서정적인 표현을 통해 현실을 초월하려는 욕망 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이후 민족주의 사상에 입각한 동양주의 사상에 영향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권우택은 일제의 식민 지배에 저항하여 조선미술전람회에 더 이상 참여하지 않고, 삽화 작가로서 활동하였다. 이것은 네 번째 특징인 종교와의 결 합으로서 권우택이 삽화에서 민족적인 내용과 기독교적인 상징을 혼합한 이미지를 보여주는데 이는 그가 일제에 저항적 의식으로 전람회에 반항적 특징을 확인시켜 주 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그의 삽화에서는 민족적 상징과 기독교적 내용을 통해 종합 적으로 당대의 복잡한 현실과 내적 갈등을 반영하였다.
6,100원
2.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논문은 바네사 벨(Vanessa Bell, 1879-1961)의 오메가 공방(Omega work shops, 1913-1919)에서의 활동에 대한 연구이다. 오메가 공방에서 바네사의 역할 과 작업 활동을 주목하여 그가 현대미술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고 영국의 전통 순수 미술과 실용미술을 종합하는 총체 미술인 오메가 공방활동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바네사는 1913년부터 1919년까지 오메가 공방에서 순수미술을 확장하여 자수, 카펫, 접이식 스크린, 목판화 작업을 했다. 또한 응용디자인 영역으로 직물과 드레스 를 디자인하고 유아방 공간과 벽지를 디자인하며 순수미술의 실 험을 공예디자인영 역까지 확장하여 서로의 통합을 시도했다. 바네사는 자수 작품에서 단순히 자수를 여 성의 영역이라는 전통적인 맥락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예술가로서 창의성, 자발성을 더하여 순수회화의 또 다른 실험 으로 발전시키고자 했다. 바네사는 직물 디자인에서 추상적 양식을 시도하며 현대미술을 적용 하고자 했다. 바네사가 오메가 공방을 통해 순수미술과 실용미술을 종합하는 총체미술로 발전 시켜나간 1910년대의 활동에 집 중했고 바네사가 오메가 공방에서 탐구한 종합예술이 미술사에 큰 업적으로 기여했 다는 것을 고찰했다.
5,400원
3.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스라엘에서 태어난 미칼 로브너(Michal Rovner, 1957~ )는 1987에 뉴욕으 로 이주한 후 사진과 비디오 및 설치 작업을 하고 있다. 그녀의 작품에는 경계를 넘 어가는 존재들의 다양한 현실이 반영된다. 이는 반복되는 이주와 이산을 경험한 디아 스포라의 서사로 읽혀지며, 이스라엘과 미국을 오가며 살아가는 그녀의 삶이 그러한 서사를 뒷받침한다고 할 수 있다. 초기의 사진에서 로브너는 단순한 이미지에 여러 단계의 조작(폴라로이드 사진 촬영, 확대 및 재촬영, 채색 등)을 더해 작품을 만들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결과물은 이미지의 크기와 질감, 색상이 크게 달라져 추상회화처럼 평면화되고, 실체는 무게감 과 공간감을 상실하여 부유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한 로브너의 공간 처리 방식은 19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비디오 작업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녀의 작품은 이스라엘 주변 국가와 유대인의 관계가 배경을 이루기 때문에 작품에는 필연적으로 국가적 충 돌이나 민족적 갈등에서 비롯된 경계와 ‘사이의 공간’에 대한 생각이 드러난다. 그러나 로브너는 이데올로기가 대립하는 특정 장소에 대한 정보를 지우고 모호한 공간을 제 시함으로써 작품에 다층적인 의미 구조를 부여한다. 이는 감상자로 하여금 외부의 압력 이나 조작으로부터 왜곡된 이미지가 아닌 새로운 것들을 발견하게 하고 이데올로기 가 대립하는 장에서 공존하는 방법을 고민하게 하려는 로브너의 의도라 할 수 있다.
6,900원
4.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필립 펄스타인(Philip Pearlstein, 1924-2022)은 미국 현대의 정밀-사실주의 (Sharp-Focus Realism) 작가이다. 1949-1950년 작가 활동을 시작한 펄스타인은 당시 미국의 주류 미술인 추상표현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다 1960년대 추상표 현주의에 회의를 느끼고 인체 누드를 주제로 구상 회화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펄스 타인의 누드화는 극(極)사실적이면서도 추상적인 구성을 통해 독창적인 조형성을 보 여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펄스타인의 정밀-사실주의 누드화에 나타난 추상적 구 성의 특징과 그 기원을 살펴보고자 한다. 펄스타인의 정밀-사실주의 누드화는 화면의 모든 부분이 동등한 초점으로 묘사 된다. 그는 누드화의 인체, 사물, 공간을 전통적인 원근법이 아닌 동일 선명도로 표 현하여 화면은 평면의 탈중심적이 된다. 이러한 특징은 1970년대 미국 하이퍼리얼 리즘 회화와 유사하지만 펄스타인은 사진을 사용하지 않았다. 펄스타인에게는 대상 뿐 아니라 대상을 둘러싼 외부 조건의 변화와 우연성을 포착하는 것이 작품에 중요 한 요소였다. 그는 대상을 직접 눈으로 관찰하여 사진을 기반으로 하는 하이퍼리얼리 즘과는 다른 방식의 사실주의를 추구했다. 펄스타인의 직접 관찰을 통한 묘사는 화면에서 작가의 주관적인 감성이나 의미를 배제하는 요인이 되었다. 펄스타인은 회화가 기술이 성취된 형식만으로도 충분히 예 술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최대한 객관적 시선을 통해 작품을 제 시할 뿐이다. 그 형식에서 의미를 찾고 감동하는 것은 감상자의 몫이다. 이후 펄스타 인은 인체와 사물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대신 중립적 개체로 표현하여 화면을 구성 하는 요소로 사용했다. 1980-1990년대 펄스타인 누드화의 특징은 정밀-사실주의 기법 화면에 추상적 구성이 적극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펄스타인은 추상표현주의와 모더니즘 회화의 영향으로 특히, 몬드리안의 수평적 확장과 리듬감, 클라인의 추상화된 선적인 구성은 그의 누드화 조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여기에 동양 회화의 여백과 같은 공간성을 자 기 누드화에 적용하여 3차원의 공간을 형성했다. 펄스타인은 모더니즘 추상 조형성 을 누드화에 활용하였으나 반드시 평면에 도달해야 한다는 생각에서는 자유로웠다. 그 결과 1980-1990년대 펄스타인의 누드화는 인체, 사물, 공간을 정밀-사실주의 기 법으로 표현하면서 구성에서는 모더니즘 추상의 평면성과 화면 내부와 외부로 확장 되는 3차원의 공간성을 동시에 성취하게 되었다. 1980-1990년대 펄스타인의 정밀-사실주의 누드화는 추상표현주의와 모더니즘 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자기 눈으로 관찰된 3차원의 공간을 보이는 그대로 받아들여 화면에 담아내는 독자적인 조형성을 성취했다. 이것은 펄스타인이 사실적 재현과 추 상적 구성을 넘어서 자기만의 예술적 깊이를 추구한 것으로, 주류 미술과 대중적 기 대를 넘어 자기만의 예술 세계를 끊임없이 창조해 나간 결과라고 생각된다.
6,300원
5.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베르트 모리조(1841-1895)의 딸 줄리 마네(1878-1966) 초상화에 대 한 연구이다. 줄리 초상화는 1878년부터 1895년까지 125-150점 정도 제작되었다. 줄리 초상화는 모리조가 딸을 16년 동안 기록한 작품으로, 어머니의 모성을 보여주 는 모리조의 대표적인 작업이다. 딸 줄리는 모리조의 인생과 예술 세계에서 큰 전환 점이 되었으며,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모리조는 남성 중심적인 미술사에서 모성을 기반으로 딸의 초상화를 남겼다. 모리조는 하얀색을 사용하여 빛을 표현했고, 이를 통해 어머니로서 따뜻한 시선을 보여주었다. 또한 줄리의 성장 과정에 따라 초상화 배경을 변화시키면서, 아동관과 부르주아 생활상을 보여주었다. 유아기의 줄리 초상화는 주로 정원을 배경으로 하며, 아동기에는 불로뉴 숲을 배경으로 변화한다. 이후 어린 줄리가 부르주아 소녀로 성장 하면서 초상화 배경은 응접실로 변화한다. 모리조는 줄리 초상화를 통해 점차 독립적 인 성인으로 성장하는 딸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모리조는 여성 화가이자 어머니였기 때문에 가정 내에서 딸의 모습을 그릴 수 있 었고, 이러한 점에 동시대 남성 화가와의 차별성을 지닌다. 모리조는 줄리 초상화를 통해 헌신적인 어머니이자 전문 예술가로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었으며, 화가로서 모리조 자신의 성장과 변화를 보여주었다. 줄리 초상화는 19세기 후반 부르주아 소녀의 성장 기록으로서 가치가 있다. 또한 어머니가 직접 남긴 16년 동안의 딸 초상화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줄리 초상화를 성장 과정과 초상화 배경에 따라 정리하면서, 이를 통해 나타나는 아 동관과 부르주아 생활상을 살펴볼 것이다.
5,800원
6.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영석(趙榮祏, 1686-1761)은 정선(鄭敾, 1676-1759)이 산수화에서 이룩한 예 술적 혁신을 ‘개벽(開闢)’이라고 평가하였다. 정선 이전에 우리나라 산수화의 주류는 중국의 화풍을 수용・변형시킨 것이었다. 정선 이전에도 실경산수화는 그려졌다. 그 러나 이 그림들은 실경감(實景感)이 부족했다. 1711년, 조선시대 회화에 일대 분수령 을 이룬 사건이 일어났는데 이것이 바로 정선의 금강산 여행이다. 그는 이 여행을 마 친 후 <<신묘년풍악도첩(辛卯年楓岳圖帖)>>을 그렸다. 정선이 그의 진경산수화를 통 해 이룩한 거대한 혁신은 무엇이었을까? 정선이 조선시대 산수화에 혁명적인 변화를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창의적으로 미점(米點)을 금강산 그림 등 그의 진경산수 화 제작에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미점은 북송시대의 화가인 미불(米芾, 1051-1107) 과 그의 아들인 미우인(米友仁, 1086-1165)이 창안한 회화 기법이다. 미점이 사용된 산수화를 미법(米法)산수화라고 한다. 미점은 구름이 끼고 안개가 자욱한 자연의 습 윤한 모습을 묘사하는데 주로 쓰였다. 그런데 미법산수화는 실경산수화가 아니다. 상 상 속의 구름 낀 산을 그린 것이 미법산수화이다. 정선은 중국의 화가들과 달리 미점 을 실재하는 경치를 그리는데 사용하였다. 즉 그는 미점을 구름과 안개가 낀 산의 습 윤한 모습을 표현하는 데 쓰지 않고 실제 경치를 묘사하는데 사용함으로써 미법산수 화의 성격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신묘년풍악도첩>> 속 <단발령망금강산>을 보면 단발령을 묘사하는데 많은 미점이 사용되었다. 같은 화첩 속 <장안사>에는 옆으로 긴 점이 나무를 표현하는데 사용되었는데 이 점은 미점의 변형이다. 정선은 미점으로 조선의 산천을 그렸다. 결국 정선의 진경산수화는 ‘미점으로 그려낸 실경산수화’라고 할 수 있다. 조영석이 언급한 ‘개벽’은 정선이 그린 진경산수화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미점의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사용에서 비롯되었다. <<신묘년풍악도첩>>은 1711년에 정선이 이룩한 회화 혁명이 무엇인지를 알려주고 있다.
8,100원
7.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브리엘레 뮌터에게 있어 청기사 시기는 그녀의 작품 변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이 시점부터 뮌터는 단순한 사물의 재현에서 벗어나 내면의 본질을 담아내는 청기사 이념을 작품 속에 반영하기 시작했다. 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뮌터가 어떻게 자신 의 작품에 청기사 이념을 구현했는지, 특히 원시성을 비롯한 새로운 조형적 특징들을 통해 자신만의 예술적 정체성을 형성하고자 한 방식을 탐구했다. 청기사는 자연의 단순 재현이 아닌 순수한 색채와 형태를 통해 주관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는 원시 예술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으며, 이 시기에 뮌터는 민속 예술품과 유리이면화에 매료되었다. 뮌터에게 민속 예술은 청기사 시기 의 작품에 중요한 영감을 주었으며, 그녀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단순화된 형태, 굵 은 윤곽선, 그리고 강렬한 색채는 유리이면화의 조형적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이후 뮌터는 신지학과 칸딘스키가 강조한 ‘내적 필연성’을 민속 예술과 접목하여 자신만의 독창적인 화풍을 완성했다. 그녀는 민속 예술품을 단순한 재현의 대상이 아니라, 내 면과 정신을 시각화하고 구체화하는 도구로 사용했다. 이를 위해 뮌터는 대상을 변형 하거나 신비화하며 작품 속 공간을 왜곡하여 새롭게 재구성했다. 이 시기에 그녀의 작품은 추상적 형식으로 나아갔으며, 이는 그녀의 예술 작품의 정점으로 평가받았다. 이처럼 뮌터의 청기사 시기에 나타난 원시성은 주변의 다양한 영향을 받으며 재 현의 틀을 벗어나려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시기는 뮌터가 자신의 예술적 정체성을 탐구하고 확립한 중요한 시기로서 그녀의 작품 세계에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연 구의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