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pplications of Large Language Model (LLM) in Politics and the Public Sector : Expectations and Limitations of Generative AI KCI 등재

대규모 언어모델(LLM) 계열 기술의 정치·공공 부문 적용 : 생성형 인공지능의 기대와 한계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99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700원
사회적질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한국인문사회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Humanities & Social Quality)
초록

생성형 인공지능의 급속한 발전은 사회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며, 일상생활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 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동향을 대규모 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s, LLM)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솔루션이 정치 및 공공 부문의 효율성과 서비스 최적화 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 싱가포르, 인도 등의 사례분석을 통해 인공지능 도구가 선거의 확장성과 시민과의 상호작용 개선에 역할 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동시에, 대규모 언어모델의 실사용 과정에서 제기되는 편향성, 허위정보 확산, 규제 공백 등의 쟁점들을 고찰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 다. 요컨대, 생성형 인공지능은 민주주의 발전과 공공서비스 증진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기술의 지속 가능하고 적실한 활용을 위해 투명성, 공정성과 책임성을 고려한 사용이 요구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generative AI is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society and is being integrated into all aspects of daily life. This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of AI technologi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Large Language Models (LLMs), and explores how AI-based solutions are being used to improve efficiency and service delivery in the political and public sectors. Drawing on case studies from the United States, Singapore and India, the research highlights how AI tools are expanding electoral strategies and strengthening citizen engagement. The study also addresses challenges such as bias in AI applications, the spread of misinformation, and regulatory concerns, while assessing related ethical and governance issues. While generative AI has great potential to foster democratic development and improve public services, its sustainable and appropriate use requires policy responses based on transparency, fairness and accountabili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생성형 인공지능의 기술적 정의와 진화 과정
Ⅲ. 정치·공공 부문에서 적용 사례 분석
    1. 미국 선거 캠페인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의 도입
    2. 미국 선거 캠페인 콘텐츠 생성 활용
    3.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한 싱가포르 정부의 행정 지원 서비스
    4. 인도의 대규모 언어모델 활용 공공 인터페이스 확장
Ⅳ.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의 응용 과제
    1. 데이터 편향성과 윤리적 문제
    2. 허위조작정보 확산 가능성
    3. 인공지능 시장에 대한 기술 규제 이슈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
  • Kim Jeong-yeon(Research Professor, Center for Digital Social Science, Yonsei University, South Korea) | 김정연 (연세대학교 디지털사회과학센터 연구교수)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