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황제내경』에 나타난 불면증의 인식 KCI 등재후보

Understanding of Insomnia in the HuangdiNeij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99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자연치유재활복지융합연구(구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Rehabilitation Welfare Convergence Study)
초록

본 연구는 『황제내경』에 나타난 불면증에 대한 인식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황제내경』은 불면증을 전체적인 신체 균형의 문제로 인식하며, 사기의 침입과 위기 순환 장애, 기혈의 허약, 장부 기능 실조, 정지 변동 등을 주요 병리기전으로 제시한다. 이는 현대 의학의 심신 상관성 이론과 연결되며, 전인적이고 통 합적인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연구 결과, 『황제내경』의 불면증 인식이 현대 의학에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며, 오장의 기능, 기혈의 균형, 정신적 요인 등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정신적, 감정적 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전반적인 건강 유지의 근본으로 보고 있다. 본 연구는 동서양 의학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불면증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현대 의학에서 불면증 치료에 있어 보다 포괄적인 접근 방식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the perception of insomnia as presented in "Huangdi Neijing". "Huangdi Neijing" views insomnia as an issue of overall bodily balance, presenting the invasion of pathogenic factors, disturbance in defensive qi circulation, deficiency of qi and blood, dysfunction of internal organs, and emotional fluctuations as the main pathological mechanisms. This perspective aligns with modern medicine's theory of mind-body correlatio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 holistic and integrated approach. The study finds that "Huangdi Neijing's" understanding of insomnia offers significant insights to modern medicine, detailing how the functions of the five organs, balance of qi and blood, and mental factors affect sleep. Notably,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ental and emotional health, considering it fundamental to overall health maintenance.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and more effective treatment methods for insomnia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of Eastern and Western medicine, suggesting the need for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to insomnia treatment in modern medicine.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론
2. 사기(邪氣)의 침입과 위기(衛氣) 순환장애로 인한 불면증
3. 영혈(營⾎)과 위기(衛氣)의 부족으로 인한 불면증
4. 장부 기능 실조로 인한 불면증
    4.1 ⼼기능 실조로 인한 불면증
    4.2 肝기능 실조로 인한 불면증
    4.3 脾기능 실조로 인한 불면증
    4.4 腎기능 실조로 인한 불면증
    4.5 肺기능 실조로 인한 불면증
5. 정지(情志)의 변화로 인한 불면증
6.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종두(Professor, 02838 Dept. of Naturopathy Rehabilitation Welfare, Dongbang Culture Univ. Seongbuk-ro, Seongbuk-gu, Seoul, Korea) | Jongdu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