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IS를 활용한 정류 중인 선박의 항해안전 확보를 위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Enhancing Navigational Safety of Drifting Vessel Utilizing A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4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선박의 선장이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일시 운항을 정지하는 경우인 정류는 실무에서 흔한 일이다. 이러한 정류 중인 선박의 법적 지위는 COLREG에서 정의하고 있지 않고, 학자들의 의견과 판례에서 일반항법 적용과 선원의 상무규정 적용이 상호 대립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선박 상호 간에 어떠한 선박이 유지선, 피항선이 되는지 모호한 상황이다. 또한, 법적 지위의 불명확성으로 인하여 정류 중인 선박은 대수속력이 없는 항행중인 동력선이 되고, 이는 다른 선박에서 정류 중인 선박을 외관상 식별할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정류 중인 선박의 충돌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모호성을 제거하여 선박충돌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한편, 선박자동 식별장치(AIS)는 선박의 위치, 침로, 속력 등의 정보와 더불어 항해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장치이다. 항해상태는 IMO Res.A.1106(29)에 따라 항행중, 정박중, 조종제한선 등 선박의 현재 상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인데, 현재 13번째 항목이 미래 사용 을 위하여 남겨두었다. 따라서 해당 항목에 ‘정류 중인 선박’을 할당하여 외부에서 정류 중인 선박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In maritime practice, it is common for a ship's master to temporarily halt navigation for a specific purpose, a situation known as "drifting." However, the legal status of a drifting vessel is not defined in the COLREGs, and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among scholars and case law regarding whether to apply general navigation rules or the ordinary practice of seaman. As a result, there is ambiguity regarding which vessel should maintain course and which should give way when they encounter each other. Furthermore, due to the lack of clarity in legal status, a drifting vessel is considered a power-driven vessel underway but not making way, making it difficult for other vessels to visually identify its status. Consequently, collisions involving drifting vessels continue to occur. To prevent such collisions, there is a need to eliminate this ambiguity. Meanwhile,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provides real-time information on a vessel's position, course, speed, and navigational status. According to IMO Resolution.A.1106(29), AIS can display the vessel's current status. such as underway, at anchor, or restricted in maneuverability. Currently, the 13th slot in the AIS status list is reserved for future use. Therefore, it is proposed to assign this slot to indicate a "drifting vessel", allowing external parties to recognize the drifting status of a vessel.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정류 중인 선박
    2.1 정류 중인 선박의 개념
    2.2 정류 중인 선박의 법적 지위
    2.3 국·내외 사고사례와 판례(재결)
    2.4 소결
3. AIS의 개요와 특성
    3.1 개요
    3.2 AIS 전송 정보
4. 정류선박의 AIS 활용방안
    4.1 개요
    4.2 AIS 적용
5. 결 론
    5.1 결론
    5.2 연구의 한계
사 사
References
저자
  • 홍상용(국립한국해양대학교 항해융합학부 조교수) | Sangyong Hong (Assistance Professor, Division of Navigation Convergence Studies, National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Busan 49112, Korea)
  • 전해동(국립한국해양대학교 항해융합학부 교수) | Haedong Jeon (Professor, Division of Navigation Convergence Studies, National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Busan 49112,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