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異體字類型化研究》: 以IRG提交漢字爲中心
한국에서 이체자 유형화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2006년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이체자정 보>시스템을 구축하면서부터이며, 이후 2012년부터 <유니코드한자 검색시스템>에 수록된 新 出漢字의 자형을 IRG에 제출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이체자 定型化 문제가 논의되었다. 그 배경에는 한국이 제출한 폰트와 원문 이미지가 다양한 이유로 IRG에 제출하는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그 중 가장 큰 이유는 한국이 EXT_F 영역에 수록하기 위해 제출한 원시자료 가 바로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새로 발견된 한자를 正字 형태의 폰트로 만들 어 검색할 수 있게 만든 <유니코드한자 검색시스템>에 수록된 자형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submission과 전거이미지가 서로 다른 자형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국내 검토단계에서부 터 제출을 보류한 자형도 상당수 있었다. 이후 IRG에 제출하여 각국의 검토를 거치면 submission에 있는 자형과 전거이미지 간에 차이가 인해 상당수가 철회 또는 보류되는 문제가 발생 하였고, 그 때마다 해명해야 했다. 기존에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형의 통합과 분리에 관련된 한자통합규칙과 실제 사례를 정리한 UCV가 이미 존재하였다. 하지만 이 자료 역시 동일한 자형이지만 시기와 국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국이 제출하는 신출한자의 정규화에 100% 적용하기에는 적합 하지 않았다. 만약 기존의 룰을 적용하면 한국에서 원하는 자형을 제출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 이 지속되었다. 이런 와중에 2016년 <Normalization rule>의 초안을 작성하여 한국의 경우 특수 하게 여기에 작성된 룰에 따라 자형을 인정해주겠다고 제안하였다. 이후 몇 번의 국내 회의를 통해 작성원칙을 정한 후 사례를 정리하여 異體字가 아닌 정자 형태로 자형을 유형화해서 제출 할 수 있게 되었다. 유형화는 자형을 정리하여 신출자를 제출하는 과정에서는 나름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자형을 정리하여 폰트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하 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이 연구가 한국문헌에 나타난 자형의 역사를 부분적으로 확인하는 계기가 됨과 동시에 차후 한국의 한자자형의 표준화를 진행할 때 우리나라에서 사용한 자형을 代表字의 기준을 삼는 하나의 근거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韓國對於異體字的定型化討論始於2006年,當時韓國古典翻譯院建立了一個“異體字信息” 系統。之後從2012年開始,韓國向IRG提交“Unicode漢字搜索系統”中收錄的新出漢字的字 形,異體字的定型化問題一直受到了廣泛關注。 這背後的原因是,韓國由於種種原因難以將字體和原始圖像提交給IRG。其主要原因是, 韓國爲了將數據提交到EXT_F領域,提交的原始資料就是“Unicode漢字搜索系統”中收錄的 字形,該系統是爲了在建立“韓國歷史信息綜合系統”時,將新發現的漢字製作成正字形態的 字體進行檢索而設立的。因此,在韓國國內審查階段,有許多漢字因字形的差異以及包含不 同的圖像,導致提交被擱置。然後,提交到IRG並經各國審查後,由於字形及圖像差異,很 多提交材料被撤回或擱置,每次都需要做出解釋。 爲了解決這一問題,已經存在了一個字形整合和統一字符規則的實際案例(UCV)。然 而,由於相同的漢字字形在不同時期和不同國家可能略有不同,因此不能100%適用於韓國 提出的新出漢字的規範化。如果應用現有規則,韓國將繼續面臨難以提交所需字形的情況。 在這種情況下,韓國於2016年制定了《標準化規則》的草案,提出按韓國制定的規則來認可 字形。之後,通過幾次韓國國內會議確定了原則,並對案例進行了整理,以便將異體字形式 定型化然後提交。 雖然這種定型化可以被認爲是整理字形以提交新字形相對有效的方法,但從根本上來說, 我們並不認爲這是整理字形和創建字體的最佳方法。儘管如此,這項研究仍可以在一定程度 上證實韓國文獻中出現的字形的歷史,同時,也可以作爲在未來韓國進行漢字字形定型化 時,將韓國使用的字形作爲標準的一個參考依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