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신중년의 재취업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가족지지와 자긍심의 조절 및 이중매개 효과 KCI 등재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employment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Middle-Aged Adul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7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신중년 세대가 재취업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 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와 자긍심이 조절 및 매개 효과를 수행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재 취업을 원하는 경기도 거주 신중년층(50∼60대) 중 지자체의 교육지원 프로그램에 참여 중이거나 참여 경험이 있는 남, 여로 하였 다.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검증 및 Bootstrapping 기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재취업 스트레스는 자긍심에 부(-)적 영향 을 미치며, 이때, 가족지지는 재취업 스트레스와 자긍심 간의 관계에서 조절 변 수로 작용하여 위험요인이라 할 수 있는 재취업 스트레스의 부(-)적 영향을 완 화하였다. 둘째, 가족지지는 재취업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조 절 변수보다는 매개 변수로서 더 유의미하게 작용하였다. 셋째, 가족지지와 자 긍심은 Sobel 검증과 Bootstrapping 분석결과 이중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신중년층의 재취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정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가족지지와 자긍심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고, 신중년 재취업 지원 정책을 설계하고 코칭 및 교육 프로그램제작에 도움을 주고자, 심리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play a moderating and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experienced in the reemployment proc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employment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family support acts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employment stress and self-esteem, thereby mitigating the negative effects of reemployment stress, which can be considered a risk factor. Second, family support acted more significantly as a mediating variable than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employment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ird,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have a double mediating effe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designing reemployment support policies for the middle-aged and improv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quality of lif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분석 대상 및 자료수집
    2. 측정 도구
    3. 자료 분석
    4. 연구모형
Ⅲ. 연구 결과
    1. 재취업 스트레스와 자긍심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2. 가족지지의 조절 효과
    3. 가족지지의 매개 효과
    4. 가족지지와 자긍심의 이중 매개 효과
IV.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정옥(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전공 박사과정) | Kim Jeong-Ok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Education, Kangnam University)
  • 유제민(강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Yoo Jae-Min (Professor, Department of Education, Kangnam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